우리나라 사람들이 우울증에 걸렸을 때 자살과 같은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이 서양인에 비해 많은 이유가 밝혀졌다. 우울한 기분이나 표정을 표현하는 경우가 적고, 감정을 억누르고 속으로 삭이다 병을 키우는 경향이 강한 탓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10년째 자살률 1위란 불명예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팀이 최근 하버드의대 정신건강의학과 모리죠 파버(Maurizio Fava, MD) 교수팀과 함께 한국과 미국의 우울증 환자 5300여명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한국에서는 삼성서울병원 등 14개 대학병원에서 1592명의 환자가, 미국에서는 하버드대학교 부속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등 14개 주요 대학병원과 41개의 정신질환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 3744명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환자들의 우울증 척도(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의 총점은 14.58점으로 미국 환자들의 19.95점에 비해 전반적으로 30% 가량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측정한 삶의 질 척도(Q-LES-Q-SF)에서 우울 성향의 심각도는 한국인이 39.15점으로 미국인의 37.33점과 큰 차이가 없었다.
전 교수는 이에 대해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들이 미국 환자들에 비해 같은 수준의 우울증이라도 우울증 심각도가 낮게 평가되기 때문인 듯하다”며 “우리나라 환자가 우울한 기분을 말이나 표정으로 표현하는 정도가 미국 환자보다 낮다고 볼 수 있다”고 풀이했다.
우리나라 환자는 또한 불면증, 식욕저하, 불안, 체중감소, 건강염려증 등의 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우울증이 자살과 같이 최악의 상황에 이르는 경우는 한국이 많았다. 자살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는 중이거나 최근 시도를 한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우리나라 환자에게선 6.9%로, 미국인(3.8%)의 배 가까이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국가통계로도 확인된다. 미국이 지난 2012년에 발표한 2010년 기준 자살자 수를 보면, 인구 10만명당 12.4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통계청이 발표한 자살자 수는 31.2명으로 미국의 약 2.5배 수준이다.
우울증을 치료하러 와서도 본인의 우울증 정도에 대해 과소평가할 정도로 자신의 병을 표현하는 데 인색한 반면, 실제로는 훨씬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어 시급한 치료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 교수는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과 비용을 줄이려면 한국인의 우울증 특성에 맞는 치료방법을 찾아야 한다”면서 “뿐만 아니라 진단과 치료를 잘 받을 수 있도록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을 감소시키고 우울증에 대해 보다 신중하고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국제임상정신약리학회지 ‘인터내셔널 클리니컬 사이코파마콜로지(ICP)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한국인들, 우울증 삭이다 병 키우는 비율 미국인보다 2배나 많다
입력 2014-08-12 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