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카톡·라인 이용 안돼…장기화 조짐

입력 2014-07-13 16:28
국민일보DB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라인의 중국 내 먹통이 열흘 넘게 지속되고 있다.

이번 서비스 장애가 중국 정부의 고의적인 차단일 가능성이 크지만 우리 정부는 신중히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13일 중국 언론과 IT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일부터 현재까지 카카오톡, 라인 등의 접속을 차단했다.

카카오톡은 지난 1일 오후부터 중국 전역에서 텍스트 전송, 1:1 보이스톡, 사진 전송 기능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가 중단됐다. 네이버가 자회사 형태로 운영하는 라인은 아예 메시지 전송을 비롯한 모든 기능이 먹통이다.

두 업체는 지금까지 네트워크·서버 오류 등 내부 기술적 결함을 발견하지 못한 상태다.

이번 사태에 대해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자국 메신저인 ‘위챗’ 등 자국 정보통신 산업 보호를 위해 강제로 서비스를 차단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이번 사태를 놓고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적인 접속 차단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앞서 페이스북과 트위터, 구글 서비스를 차단한 바 있으며, 카카오톡과 라인 두 서비스 차단 시점에 야후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서비스 접속도 마비됐기 때문에 기술적 문제보다 고의적인 서비스 차단일 가능성이 높다.

또 홍콩 명보(明報)는 최근 인기 사진공유 어플리케이션(앱)인 인스타그램이 중국의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에서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두 메신저를 운영하는 ㈜카카오와 라인주식회사는 당장 중국 당국의 접속 차단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카카오톡과 라인은 중국내 먹통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중국시장 진출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차질을 가져올 것을 우려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번 접속 차단으로 카카오톡과 라인 해외 사용자는 물론 국내 사업자, 유학생 등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정부도 관할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가 외교부와 협의 하에 지난주부터 주중대사관을 통해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당국이 개입했다는 뚜렷한 정황이 나오지 않는 데다 섣불리 나섰다가는 자칫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13일 “이들 메신저는 앱마켓에서 다운로드해 이용하는 서비스라 WTO 협약 대상이 아니어서 중국이 강제로 차단했다 하더라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문제가 국제적으로 이슈화되면 오히려 두 업체의 글로벌 비즈니스에 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도 정부의 고민이다. 실제로 두 업체는 정부에 아무런 도움 요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