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세월호 자료제출 고작 4.8%” 野 “대통령 6시간동안 어디있었나”

입력 2014-07-08 15:29
사진=세월호 참사 당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이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상황 보고를 청취했다며 청와대가 제공한 사진, 국민일보DB

세월호 침몰 참사 원인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에서 야당쪽 의원들이 들고 일어섰다. 청와대의 자료 제출 실적이 극히 부진하기 때문이다. 김기춘 대통령실 실장이 7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나와 세월호 참사에 송구하다며 고개를 숙였지만, 이날까지 청와대가 국회에 보내온 자료는 야당이 요구한 전체 269건 가운데 13건이었다. 백분율로 하면 4.8%다. 박근혜 대통령과 김 실장 모두 국회의원 출신인데도 그렇다. 박 대통령은 5선, 김 실장은 3선으로 둘 다 10년 넘게 의정활동을 해 봤다.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야당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의원은 동료 특위 위원들과 함께 8일 국회 브리핑룸에서 마이크를 잡았다. 이들은 “8일 현재 사망자 293명, 실종자 11명의 인명 피해를 발생시킨 세월호 참사는 ‘살릴 수 있었던 국민을 살리지 못한’ 사상 초유의 사건”이라며 “정부의 무능하고 무책임한 초동 대응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했다. 이어 “책임있는 자세로 국민 앞에 그 실체를 소상히 밝혀야 할 박근혜정부는 오히려 청와대부터 앞장서 진상규명을 방해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청와대가 세월호 진상규명을 방해하고 있다는 주장의 근거는 청와대의 자료제출 실적 4.8%라는 수치다. 이들은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은 자료 요구에 매우 불성실하게 임하고 있다”라며 “7일 도착한 서면답변서는 거의 모두 ‘제출할 수 없음을 양해해 달라’는 답변만 달려서 답변서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수준”이라고 했다. 또 “오늘까지 국정조사 특위 야당 위원들의 자료 요구 269건에 대해 총 13건을 제출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야당 특위 위원들은 또 “세월호 사고가 발생한 시점에 김기춘 비서실장은 박 대통령의 행방을 몰랐고, 그래서 대면보고도 할 수 없었고, 당연히 대통령 주재회의도 할 수 없었다”라고 강조했다. 어제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한 김 실장이 박영선 새정치연합 원내대표와의 문답에서 스스로 밝힌 내용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 관련 첫 서면보고를 받은 것은 오전 10시, 유선보고는 10시15분에 받았지만, 오후 4시15분까지 대통령 주재 대책회의가 열리지 않았음을 지적한 것이다. 에어포켓이 남아 있었고, 애타게 구조를 기다리던 학생들이 선실 창문에 붙어있던 그날 6시간 넘게 대통령이 어디에 있었는지 모른다는 것이 청와대의 현주소라는 지적이다.

야당 의원들은 “세월호 희생자들이 애타게 구조를 기다리며 사경을 헤매고 있을 때, 청와대는 멈춰 서 있었고 국민을 지킬 대한민국은 작동하지 않았다”라고 했다. 이어 다시 한 번 청와대에 성실하게 국회에 자료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헌법이 부과하는 의무다. 이들은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야당 위원 일동 연서로 공동 자료요구를 하니, 성실히 작성해서 청와대 기관보고가 예정된 7월 10일 오전 10시 이전에 제출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사진=세월호 참사 당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이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들러 상황 보고를 청취했다며 청와대가 언론사에 제공한 사진, 국민일보DB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