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연구팀…골다공증 환자 코·안면성형 수술 신중하게 선택해야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는 코 성형수술이나 안면성형 수술을 하는 경우 분쇄골절 위험이 높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분석 결과가 제시됐다.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준(사진 왼쪽)·성형외과 이일재(오른쪽) 교수 연구팀은 2001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이비인후과를 내원한 환자 중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성인 96명의 안면 CT(컴퓨터단층촬영)를 이용해 눈뼈 바닥, 코뼈, 광대뼈, 상악골 등 안면골의 다양한 부분의 골밀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DEXA(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골다공증 환자군(47명)과 대조군(47명)으로 나누고 이를 안면 CT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연구 결과, 측정한 모든 부분에서 골다공증 환자의 안면골의 골밀도가 정상인에 비해 낮은 것이 확인됐으며, 특히 상악골에서 차이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골다공증 환자가 얼굴에 상처를 낼 때 정상인에 비해 골절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휘어진 코나 매부리 코를 교정하는 코 성형이나 안면 윤곽을 변형하는 양악 수술과 같은 안면 성형술을 시행할 때에도 의도치 않은 분쇄골절 등 합병증의 위험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현준 교수는 “골다공증은 주로 척추나 사지와 같은 뼈에 주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얼굴뼈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번 연구가 골다공증 환자의 얼굴뼈 전체에 대한 첫 연구라는 데 의미가 있다”며 “골다공증 환자는 안면 성형수술시 세심하게 주의해야 하고, 특히 얼굴뼈를 잘라야 할 때에는 수술과정에서 병변 주위 뼈가 분쇄될 수 있는 방식(부분절골술)은 피하고 반드시 정확한 부위를 완전 절골하는 방식이 안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로 뼈의 미세 구조의 변화를 가져와서 구조를 약하게 하고, 적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가져올 수 있는 대사성 질병이다. 최근에는 노년층뿐 아니라 무리한 다이어트, 음주, 흡연, 운동 부족으로 젊은 여자들에게도 골다공증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학회지인 ‘두개안면성형 외과저널(Journal of Craniofacial Surgery)에 게재됐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골다공증 환자 코·안면성형시 골절 위험 높다
입력 2014-07-07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