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신도청 이전 연기, 김관용 지사 책임론 대두

입력 2014-06-26 17:29
전국에서 유일하게 광역단체장 3선에 성공한 김관용 경북지사가 올해 안으로 경북도청을 이전하기로 공약을 내걸었다가 결국 지키지 못함에 따라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경북도는 2008년 6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를 도청 이전 예정지로 결정했다.

당시 초선의 김관용 지사는 도청 이전을 핵심 공약으로 내걸어 당선됐을 뿐만 아니라 3선에 성공한 현재도 이를 도정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다.

도청 이전 예정지를 처음 결정했을 때만 해도 경북도는 2013년쯤 준공할 방침이었으나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2014년 6월로 준공 목표를 바꿨다.

그러나 신 도청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금품을 주고받은 혐의로 대우건설 건축본부장, 전 도청 이전추진단장, 심사를 맡은 경북대와 영남대 교수 등이 구속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행정타운 건설지역인 3공구 시공업체가 입찰 서류를 조작했다가 계약이 무효 처리되기도 했다.

이런 불상사에 더해 주민 보상과 이주대책에 시간이 걸리면서 완공 시점도 차츰 늦어졌다.

그럼에도 경북도는 경상도 개도 700년인 올해 안으로 도청을 이전한다는 방침을 바꾸지 않았다.

그동안 도청이전추진본부를 비롯한 관련 부서와 간부 공무원들이 올해 안으로 완공할 수 있다고 김 지사에게 자신감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전을 6개월 앞둔 시점이 되자 도는 마침내 이전 시기를 7개월이나 늦추기로 했다.

진입도로, 학교, 주거시설, 하수처리시설 등 전반적인 기반시설 조성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나마도 민선 6기 도정방향을 모색하는 역할을 맡은 경북 새출발위원회(위원장 하춘수)의 입을 빌려서 했다.

새출발위원회는 26일 도청 이전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김관용 지사와 사전에 협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발표 자료에 ‘도청이전 시기를 2015년 7월로 확정 한다’ ‘청사관리 운영부서 50여명이 올해 11월 1단계로 이전 한다’라고 단정적인 표현을 썼다.

또 도와 사전 협의하지 않고서는 알기 어려운 세부적인 내용까지 담았다.

이전 연기안을 제시한다고 밝혔지만 사실상 이전 시기를 못 박은 셈이다.

결국 김 지사가 공약을 지키지 못한 책임을 덜고자 이미 내부적으로 이전 시기를 연기하기로 하고서 새출발위원회를 방패막이로 이용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도청 이전 연기에 대해 안동과 예천지역 주민은 “도지사가 공약을 지키지 못한 데 따른 책임을 지고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공약을 지키지 못하고 도청 이전 시기를 연기한 것과 관련해 조만간 김 지사의 입장 표명이 있을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