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박근혜 대통령을 도와주고 싶었지만 그러나 지금 시점에서 제가 사퇴하는 것이 박 대통령을 도와드리는 것”이라며 자진 사퇴 입장을 밝혔다.
문 후보자는 23일 오전 10시 정부 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문 후보자는 “박 대통령의 근본 개혁에 공감해 분열된 이 나라를 통합과 화합으로 이끄는 일에 힘이 되고 싶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총리 후보로 지명을 받은 뒤 더 극심한 대립과 분열 속으로 빠져 들었다”며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걱정했다”고 말해 박 대통령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사퇴를 최종 결심을 했다는 뜻을 전했다.
과거에 했던 발언과 글로 친일 논란에 휘말렸던 문 후보자가 최근 이를 부인하는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최근에는 국가보훈처가 그의 조부가 애국지사로 추정된다고 확인함에 따라 어느 정도 명예회복이 됐다고 판단해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사퇴 발표로 문창극 후보자를 둘러싼 사태는 일단락됐다. 하지만 안대희 전 후보자에 이어 총리 후보자 2명이 연속으로 낙마하는 헌정사상 최초의 일이 벌어지면서 세월호 침몰 참사 이후 국정을 수습하려던 박 대통령은 상당한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한편 문 후보자는 사퇴 기자회견에서 후보직을 유지하는 동안 정치권과 언론이 자신에 대해 비판과 사퇴 압박을 가한데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법을 만들고 법치의 모범을 보여야 할 곳은 국회인데 이번 저의 일만 해도 대통령께서 총리 후보를 임명했으면 국회는 법 절차에 따라 청문회를 개최할 의무가 있다”며 “그 청문회법은 국회의원님들이 직접 만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야당은 물론 여당 의원 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이러한 신성한 법적 의무를 지키지 않고 저에게 사퇴하라고 말씀하셨다”며 “국회가 스스로 만든 법을 깨면 이 나라는 누가 법을 지키겠냐”라며 정치권을 향해서도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언론에 대해서도 “언론의 생명은 진실보도인데 발언 몇 구절을 따내 그것만 보도하면 그것은 문자적인 사실보도일 뿐”이라며 “그것이 전체의 의미를 왜곡하고 훼손시킨다면 그것은 진실보도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사진=강희청 기자
서정학 기자 mideum@kmib.co.kr
문창극 “박 대통령에 부담주지 않으려…” 자진 사퇴
입력 2014-06-24 10:19 수정 2014-06-24 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