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7월 중순경부터 실시 예고한 수도권 직행좌석형 광역버스의 입석금지 방침이 버스요금 인상을 부추겨 결국 시민들에게 부담을 조치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아울러 이 조치의 핵심인 증차는 출·퇴근시간 교통난을 가중시켜 개선 아닌 개악이 될 것이라는 비판도 만만찮다.
국토부가 10일 내놓은 대책의 핵심은 출·퇴근 시간 이용객이 많은 62개 노선에 222대의 버스를 증차한다는 것이다.
이러게 되면 운송사업자의 적자는 불보듯 뻔한 것. 대책회의때도 사업자들의 엄청난 반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의 대책이 결국 요금인상으로 이어진다는 전망도 이 때문에 나오는 것이다.
적자 보전을 대책을 요구하는 사업자들의 호소를 외면할 수는 없기때문.
경기도의 한 관계자도 구체적 언급은 피하면서도 “버스 요금을 올린 지 2년이 돼 인상을 검토할 수도 있다”며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다.
또 출·퇴근 시간대 버스 증차에 따른 도심 교통난도 무시할 수 없는 숙제다.
장기적으로 버스공영제를 통한 노선 합리화, 지하철 등 대체 교통수단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시민들이 있는 반면, 버스를 늘려 입석 운행을 없앨 수는 있겠지만 서서 가는 한이 있어도 도로 정체가 줄어 출·퇴근 시간이 짧아지길 더 바란다는 반응도 만만찮기 때문이다
한편 국토부는 광역버스를 늘리기 위해 비효율 노선을 폐지하거나 감차하는 대책도 내놨다. 기존 이용객 반발이 예상된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
요금인상 부추기는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 ‘개악’되나
입력 2014-06-10 1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