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당권 도전을 선언한 김무성 의원이 스스로 “저는 민주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박계(박근혜 대통령에게 절대 충성까지는 하지 않는 의원들) 좌장이란 꼬리표에는 “친박은 제가 만든 것”이라며 2007년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현 대통령이 맞붙었던 옛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시절을 상기시켰다. 김 의원은 당청관계 개선을 위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을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에도 “존경하는 분인데 다소 불만이 있다”고 했지만,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선택사항”이라고 전제했다. 유임론에 힘을 실은 것이다.
김 의원은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먼저 국민의 정치혐오 이야기부터 꺼냈다. 그는 “우리 국민들이 정치를 혐오하고 질타하는 대상으로 삼고 있지 않느냐. 현재”라고 했다. 정치혐오의 주체가 새누리당인지, 새정치민주연합을 비롯한 야권인지는 구분해 말하지 않았다. 그는 “어떻게 해야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정치를 만들 것인가를 고민한 끝에 제가 내린 결론은 우리 당이 정치가, 비민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비민주적 운영을 막기 위해 공천권을 당원에게 돌려주고,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거 때 횡행하던 돈봉투를 이제부터 근절하겠다고 했다.
김 의원은 스스로 “저는 민주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모든 것을 상의하고 혼자 결정하지 않고, 그리고 의견을 경청하는 자세를 계속 취하려고 노력하는 그런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자가 “서청원 의원보다 김무성이 이런 점에서 더 당대표로 어울린다”는 점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서청원 의원이 당 대표 출마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서 의원=친박’ ‘김 의원=비박’ 좌장 구도가 만들어지는 데 대해, 김 의원은 “친박은 제가 만든 겁니다”라며 강하게 불만을 표했다. 그는 “2007년도 MB(이명박 전 대통령을 그는 이렇게 불렀다)와 박 대표가 대통령 후보 경선할 때”라며 근원을 따졌다. 또 “지난 대통령선거 때도 제가 선거에 총괄책임을 졌었던 사람”이라고 했다. 2012년 대선 부산 유세 당시 김 의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남북 정상회담 NLL 관련 발언을 비를 맞으며 읽어 내려간 장면을 국민 대부분은 기억한다. 김 의원은 그것 때문에 검찰 수사까지 받았으나 정보지(속칭 찌라시)에서 본 내용이라고 소명해 무혐의 처분을 받을 수 있었다.
김 의원은 “단 한 번도 제가 비박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다”라며 “저의 생각의 가장 중심은 박근혜정부가 성공해야 새누리당이 정권 재창출을 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박근혜정부가 성공하는데 일조를 할 것인가. 그것만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비박 좌장이란 표현 자체가 “잘못된 구태 정치 문화”이며 이것이 “언론에서 만든 언론 용어”라고 했다. 언론 탓을 저어하는 다른 정치인과 달리 김 의원은 거침없었다.
사회자는 김 의원에게 “청와대에 지금 가장 필요한 직언”이 뭐냐고 물었다. 김 의원은 구체적 사안을 언급하기보다 선문답으로 답했다. 그는 “귀를 좀 크게 열어야 되고”라고 한 뒤 “눈을 좀 밝은 눈을 가져야 되겠고”라고 덧붙였다.
청와대 김기춘 비서실장에 대해선 유임론에 힘을 실었다. 김 의원은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선택사항”이라며 “우리가 이해를 해 드려야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김기춘 실장은 굉장히 훌륭한 분입니다. 제가 존경하는 분인데 다소 불만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을 바꾸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라고 했다. 사람을 바꾸지 말고, 불만이 있는 점만 고치면 된다는 뜻이다. 그 불만이 뭐냐고 사회자는 재차 물었다. 돌아온 김 의원의 대답은 “당과 청와대 관계를 너무 수직적 관계로 만든 것은 잘못”이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김무성 “저는 민주적 사고…친박은 제가 만든 것…김기춘, 대통령의 선택”
입력 2014-06-09 10:54 수정 2014-06-09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