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결과 여야가 어느 쪽도 승리나 패배했다고 할 수 없는 ‘절묘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17개 시·도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 새누리당이 경기·인천·부산을 포함해 8곳, 새정치민주연합이 서울과 충청권을 비롯해 9곳에서 승리했다.
이로써 기존에 새누리당이 9곳, 새정치연합이 8곳을 차지하던 것이 8대 9로 역전되게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5일 오전 9시 현재 새누리당은 부산 서병수(득표율 50.9%), 대구 권영진(56.2%), 인천 유정복(49.99%), 울산 김기현(65.42%), 경기 남경필(50.45%), 경북 김관용(77.73%), 경남 홍준표(58.85%), 제주 원희룡(59.96%) 후보가 야당 후보를 승리를 확정했다.
새정치연합은 서울 박원순(55.96%), 광주 윤장현(57.85%), 대전 권선택(50.07%), 세종 이춘희(57.78%), 강원 최문순(49.76%), 충북 이시종(49.75%), 충남 안희정(52.15%), 전북 송하진(69.20%), 전남 이낙연(77.95%) 후보가 승리했다.
수치상으로는 새누리당이 한 석을 잃었지만 ‘세월호 침몰 참사’의 초대형 악재 속에서도 경기와 인천과 최대 격전지였던 부산을 지키며 선전했다.
새정치연합은 인천을 내줬지만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충청권 4곳을 차지하면서 정치적 중원을 확실하게 차지하며 전체적으로도 한 석을 추가해 선방했다.
당초 여당의 패배 내지 고전이 예상됐던 상황과는 달리 ‘세월호 심판론’보다 ‘박근혜 구하기’가 막판 위력을 발휘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번 선거에서 여야 어느 일방의 승리를 주장할 수 없는 결과가 나옴에 따라 세월호 국정조사와 국정 개혁 등 향후 정치 현안을 놓고 여야 간에 치열한 주도권 다툼이 전망된다.
한편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총 226곳 가운데 새누리당 124곳, 새정치연합 72곳에서 승리했다.
2010년 지방선거 때와 비교하면 82석에 머물렀던 새누리당은 약진을, 92석을 차지했던 새정치연합은 열세에 놓이게 됐다.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는 서울 조희연, 경기 이재정 후보의 당선을 포함해 최대 13곳에서 진보 성향 후보들이 승리했다. 이번 결과는 기존 진보진영 교육감이 6명인 것에 비해 두 배로 급증한 것이다.
서정학 기자 mideum@kmib.co.kr
광역단체장 與 8곳, 野 9곳 승리…직전 선거와 뒤바뀐 ‘절묘한 선택’
입력 2014-06-05 06:36 수정 2014-06-05 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