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사퇴 정국-뉴스 분석] 새 총리 非영남·非법조서 찾는다
입력 2014-05-30 04:31
朴대통령, 인재풀 풀가동 본격 인선 착수
박근혜 대통령은 29일 차기 총리 후보자에 ‘비영남·비법조·개혁 성향’ 등 3대 요소를 갖춘 인사를 선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높은 도덕성과 함께 이런 요소를 골고루 갖춘 인물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아 고심을 계속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3대 요소를 모두 충족시키는 인사를 찾지 못할 경우 영남 출신이라도 최소한 ‘비부산·경남(PK)’인 개혁 성향의 인사를 차기 총리에 등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친박(친박근혜)이 아니면서 여당 내 독자적인 혁신 목소리를 내온 김문수 경기지사 등의 낙점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잇따라 인사 검증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아온 청와대 인사팀은 총리 후보군을 놓고 여당인 새누리당과 적극적인 소통에 나섰다. 이번에도 인사 검증이 실패하고 침체된 정국이 장기화될 경우 정상적인 국정 운영이 어려울 것이라는 위기감에 따른 것이다.
여권 관계자는 “법조인과 특정 지역 출신 인사가 중용된다는 지적이 계속돼 왔기 때문에 이번 총리 인선에는 가급적 배제해야 한다는 게 여권의 전반적 기류”라고 말했다. 여권에선 이번만큼은 국민정서에 반하지 않고 세월호 정국을 정면 돌파할 추진력과 개혁 의지를 동시에 갖춘 인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특히 현 정부 출범 이후 세 차례 연속 총리 후보자로 법조인 출신이 지명됐으나 2명은 여러 논란으로 인사청문회 전에 사퇴했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법조인 출신은 전관예우 또는 ‘법피아(법조+마피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무엇보다 언론과 야당의 인사 검증을 통과할 수 있는 인사를 선택하는 데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후임 총리 인선의 최우선 기준은 도덕성이다. 여기에 국정 운영 능력과 탁월한 정무적 판단능력, 사회를 통합할 수 있는 포용능력 등도 고려 대상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인재 풀(pool)이 넓지 않아 적임자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높은 도덕성을 갖춘 인사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여러 논란 끝에 하차한 안대희 전 후보자 사례에서 보듯 한층 높아진 검증 문턱을 쉽게 넘을 인물은 그리 많지 않다. 정치인 출신들이 다시 거론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결국 차기 총리 후보자는 여권에서 제시된 여러 의견을 토대로 박 대통령이 결정하는 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여권 주변에선 김 지사와 새누리당 김무성 최경환 의원,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특히 6·4지방선거 이후 중앙정치무대로 복귀하는 김 지사는 개혁 이미지를 갖춘 후보로 평가된다.
차기 총리 후보자 지명은 예상보다 오래 걸릴 수도 있다. 무엇보다 철저한 인사 검증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이미 수차례 인사 검증 시스템에 대한 비판론이 제기된 만큼 이번에도 인사에 실패할 경우 국민 여론은 회복하기 어려울 만큼 악화될 것으로 보고 위기감을 갖고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