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극우정당 ‘교섭단체’ 잰걸음
입력 2014-05-30 02:04
반(反)유럽연합(EU)을 기치로 내걸고 유럽의회 선거에서 약진한 프랑스 국민전선(FN) 등 극우 정당이 교섭단체 구성을 위해 세 규합에 나섰다. 유럽의회에서 교섭단체를 구성할 경우 총회 발언권은 물론 각종 위원회의 위원장직을 맡을 권한이 생기고 지원금도 챙길 수 있다.
집권 사회당을 3위로 끌어내리고 제1당 지위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킨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 대표는 28일(현지시간) EU본부가 있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조만간 유럽의회에서 교섭단체를 구성하겠다. 우리는 EU가 무너지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고 AP통신 등이 전했다.
유럽의회에서 교섭단체를 구성하려면 7개국 이상의 회원국에서 25명 이상 의원이 참여해야 한다. 국민전선은 지금까지 5개국 극우 정당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르펜 대표의 기자회견에 벨기에의 블람스 베랑(VB), 네덜란드 자유당(PVV), 오스트리아 자유당(FPO), 이탈리아 북부동맹(Lega Nord) 등이 같이했다. 르펜 대표는 “2개국을 더 끌어들이는 데 조금도 걱정하지 않는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국민전선과는 별개로 역시 극우 성향인 영국독립당(UKIP)도 교섭단체 구성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영국독립당은 보수당과 노동당으로 대표되는 영국에서 양당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제1당이 됐다. 나이젤 파라지 영국독립당 대표는 “국민전선과의 연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고전적인 자유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정치적 색깔을 띤 세력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독립당은 국민전선이 추구하는 반유대주의 노선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파라지 대표는 이탈리아의 반EU 계열인 오성운동당 베페 그릴로 대표와 회동을 갖고 연합을 모색했다.
AP통신은 유럽의회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극우 정당이 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해도 반EU라는 공통목표 외에 이념적으로 달라 의회에서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르코 인세르티 EU정책센터 연구원은 “극우 정당 연합은 정략적인 결혼에 가깝다”고 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