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총리후보 사퇴] ‘정치 기부’ 의혹 결정타
입력 2014-05-28 23:44
‘소년검사’ ‘국민검사’ 등의 수식어로 화려하게 등장했던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황제 전관예우’ ‘기부금 총리’ 등 오명을 들으며 28일 후보 지명 6일 만에 씁쓸하게 퇴장했다.
안 후보자는 지난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후보자 수락 기자회견을 통해 “제게 국무총리를 맡긴 것은 수십년 적폐를 일소하라는 것으로 이해한다”며 “부정부패 척결과 공직사회를 혁신해 국가와 사회의 기본을 바로세우겠다”고 밝혔다. 이때만 해도 2006년 대법관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그의 총리 인사청문회 역시 무난히 진행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인 23일 안 후보자의 고액 수입이 논란이 됐다. 대법관 퇴임 이후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한 지난해 7월부터 연말까지 사건 수임과 법률 자문 등으로 16억여원의 수입을 올렸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안 후보자는 16억여원 가운데 6억여원은 세금으로, 소득 10억원 가운데 6억원은 아파트 구입 자금으로 사용했다고 밝혔다. 또 기부금으로 4억7000만원을 냈다고 밝혔다.
안 후보자는 주말에도 정부서울청사 별관으로 출근해 인사청문회 준비를 했다. 그런데 고액 수입 및 전관예우 논란은 주말 사이 더욱 가열됐고, 국세청 산하기구인 세무조사감독위원장 시절 기업의 법인세 소송을 대리한 사실 등 추가적인 의혹이 잇따라 제기됐다.
안 후보자는 지난 26일 “재산에 대해서는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법인세 취소소송 변론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에는 “항상 바르게 살아왔다”고 입장을 밝혔다. 오후에는 기자회견을 자처해 변호사 시절 활동 수익 11억원을 전액 사회 환원하겠다고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은 재산의 사회 환원 발표 직후 “이미 기부한 4억7000만원 가운데 3억원은 정홍원 총리의 사의 표명 이후 기부한 것”이라며 ‘정치기부’ 의혹을 제기했다. 인사청문회 사전검증팀까지 꾸린 야당은 ‘안대희 방지법’을 제정하겠다며 안 후보자를 압박했다. 사퇴 발표 전까지 특정업무경비 유용 의혹과 장남의 군 복무 시절 근무지 관련 특혜 의혹 등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안 후보자는 사퇴 기자회견에서 “이젠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가려 한다”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