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관예우 논란에 안대희 전격사퇴… “부족한 제가 후보로 남으면 현정부에 부담”
입력 2014-05-29 03:47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28일 전격 사퇴했다.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지난 22일 총리 지명을 받은 지 6일 만이다. 안 후보자는 그동안 변호사 활동 시절 과다 수임료, 전관예우 문제 등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으며 사퇴 압박을 받아왔다.
안 후보자의 갑작스러운 사퇴에 따라 세월호 사고를 계기로 강력한 공직사회 개혁 드라이브를 건다는 박 대통령의 정국 구상은 큰 타격을 입게 됐다. 특히 이미 사의를 밝힌 정홍원 총리에 이어 총리 후보자까지 사퇴하면서 국정 운영의 공백도 상당 기간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안 후보자는 오후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여러모로 부족한 제가 더 이상 총리 후보로 남아 있는 것은 현 정부에 부담이 될 것”이라며 “저의 버팀목과 보이지 않는 힘이 돼준 가족, 저를 믿고 사건을 맡긴 의뢰인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도 너무 버겁다”고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어 “저를 믿고 총리 후보로 지명한 대통령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말했다.
안 후보자는 “전관예우라는 오해나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 행동 하나하나에 조심했다. 억울하거나 가난한 사람들을 지지하고 이들의 편에 서는 것도 잊지 않았다”면서도 “지명된 후 전관예우를 비롯한 여러 의혹으로 국민 여러분을 실망시켜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안 후보자는 지난해 7월 변호사 개업 이후 5개월 만에 수임료로 16억여원을 번 것으로 드러나 과다 수임료란 지적을 받았고, 법조계의 전관예우 등 많은 논란과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이른바 ‘국민검사’ 출신으로 원칙과 소신, 청렴 이미지를 갖췄다는 세간의 평가가 정반대로 바뀐 것이다. 세월호 참사로 현 정부 출범 이후 최대 위기에 봉착한 박 대통령의 정국 돌파카드였던 안 후보자의 낙마에 따라 박 대통령의 2기 내각 구상도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6·4지방선거 이후 단행될 것으로 예상됐던 내각 및 청와대 참모진 개편 일정의 차질은 물론 개편 폭 역시 더욱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