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들, 조속한 합의·성역 없는 조사 촉구하는데… 세월호 국조계획서 채택 여전히 진통
입력 2014-05-29 02:31
세월호 침몰 사고 국정조사를 위한 국조계획서 채택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증인 문제로 난관에 부닥쳤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국조계획서에 증인을 명시하는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세월호 사고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 대책위원회는 국회 의원회관에 머무르면서 국조계획서 채택을 촉구했다.
새정치연합은 김 실장의 이름을 국조계획서에 적시할 것을 요구했고, 새누리당이 강하게 반대하자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대통령 비서실까지만 수용할 수 있다고 맞서고 있다.
새누리당 이완구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28일 국회 비상대책회의에서 “(야당이) 법을 무시하고 증인을 구체적으로 넣으려고 한다”며 “법을 위반하면서 할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 비대위원장은 “어제 유족 여러분들이 와서 야당과 함께 특정인 이름을 열거하면서 그것을 넣어 통과시켜 달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김무성 공동선대위원장도 부산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청와대 비서실장 증인채택 주장은 전형적인 구태정치”라고 강조했다. 국조특위 새누리당 위원인 신의진 의원은 “증인을 넣느냐를 두고 공방할 시간에 국조계획서를 의결하고 회의를 열어 세부사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정치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국회 원내대표단 연석회의에서 “새누리당은 김 실장의 이름 앞에서 계속 무릎을 꿇었다”며 “한국의 또 하나의 성역인 ‘김기춘 대원군’의 존재가 확인되는 순간”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영환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미국은 과거 9·11 때 대통령이 나와서 서면보고를 했다”며 “필요하다면 대통령도 나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압박했다.
여야는 김 실장을 비롯한 증인 문제 외에 기관보고 등에서는 대략 교통정리를 했고, 가합의문까지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가족 대책위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속한 합의와 성역 없는 조사를 촉구했다. 유족 30∼40명은 세월호 국조가 시작부터 공전하자 전날부터 귀가도 하지 않은 채 의원회관에서 시위성 항의를 계속하고 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