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發 된서리에 관광·레저산업 숨넘어가는데… 금배지들 “관광세 신설”
입력 2014-05-29 02:09
복지 수요는 늘고 있는데 세수는 부족하다보니 과세 대상을 늘리거나 세금을 신설해 지방재정을 충당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관광·레저 산업이 죽어가는 마당에 세목 늘리기에만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새누리당 이한구 의원 등 10명은 지난 26일 관광세를 신설하자는 지방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관광객이 관광시설을 이용하면 환경오염, 소음, 교통체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를 완화하고 지역 관광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예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은 주정부별로 호텔 숙박세를 걷고 있고, 스위스 등 일부 유럽 국가도 지방정부가 특별관광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 개정안이 통과되면 숙박업자, 관광시설 운영자 등은 매출액의 2%를 지자체에 내야 한다.
이 의원 등 13명은 지난 23일에도 스포츠토토 등 체육진흥투표권(체육복권)과 카지노업에 대해 10% 세율로 레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지방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경마, 경륜, 경정 등에만 물리는 레저세의 과세 대상을 확충하자는 것이다. 지자체에 추가 재원을 마련해 재정 안정을 꾀하려는 취지다. 이 의원 등은 개정안을 제안한 이유에 대해 “최근 각종 복지사업을 수행하느라 지출은 증가하는데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세수가 줄어 지자체의 재정부담이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담배에 세금을 추가로 부과해 지자체의 소방안전 재원으로 활용하자는 주장도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박기춘 의원 등 10명은 지난 14일 이 같은 내용의 지방세법 개정안을 발의하고 담뱃값의 15%를 소방안전세로 지정하자고 했다. 박 의원 등은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방의 역할과 기능은 강화됐지만 지방재정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해 이런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확보한 예산은 노후화된 119 화재장비를 교체하는 등 화재 진압 여건을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한 반론도 만만찮다. 지자체 세수 부족이 고질화되는 상황에서 증세를 검토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발의 시점이 적절치 않았다는 것이다. 한국관광협회중앙회 관계자는 “관광업 종사자들은 대부분 영세 사업자들이고 이마저도 세월호 사태 이후 생활이 더 어려워졌다”며 “지원을 해줘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세금을 추가로 걷는다는 건 관광산업을 악화시키는 지름길”이라고 반발했다.
이용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