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순환’ 월동채소류 수급난… 해결 요원

입력 2014-05-27 15:26

[쿠키 사회] 제주지역 농민들이 매년 월동채소류 수급난을 겪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도는 월동채소류 수급난 해소를 위한 정책 과제를 선정했지만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제주도는 도내 농협과 학계 등이 참여하는 ‘월동채소류 경쟁력 강화 대책 수립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 운영한 결과 9개 사업 세부 시행안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시행안은 월동채소류의 품목별 재배신고제 확대, 농업관측제도 도입 운영을 통한 생산 및 유통 조절, 품목별 자조금 제도 도입을 통한 가격 폭락 대응, 해상물류비 부담과 신선 농산물 운송 방안 마련,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연계한 정보 교환 확대 등을 담고 있다.

그러나 품목별 재배신고제와 농업관측제도를 도입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직접 거래 방식인 포전거래(밭떼기)가 전체의 85% 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이 제도들이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계약재배의 확대’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품목별 자조금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지방 재정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자조금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논란을 막기 위해 근본적으로 월동채소류의 계통출하 비중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인단체들은 상인들과의 거래 방식이 아닌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통한 계통출하를 확대해야만 제주도가 제시한 제도들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 관계자는 “계통출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안정적인 판로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