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금융교육, 초중고 정규과정과 연계 검토… 금감원 “조기교육해야 효과”

입력 2014-05-27 03:05

금융 당국이 금융 교육을 초·중·고등학교 정규 교과 과정에 연계하는 방안을 놓고 교육부와 협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단계적으로 수학 등 주요 과목의 부교재로 금융 교재를 개발,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늘어가는 가계 부채 문제나 잇단 금융사고 등의 근본적인 대책은 조기 금융교육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26일 “조기 금융 교육은 학교 교육 과정과 연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교과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당장 정규 과정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수학 등 주요 과목과 연계한 금융 부교재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미 ‘금융교육 인정교과서’를 자체 개발해 전국 1만1571개 학교와 시·도교육청에도 참고용으로 배포한 바 있다. 금융교육 인정교과서는 금감원이 초·중·고교생 단계에 맞는 교육 내용을 담아 만든 교과서로 2012년 서울시 교육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이를 일선 교사가 정해진 수업시간 없이 별도로 활용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어 왔다.

금감원이 정규 교육 과정에 금융 교육을 추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금도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매년 금융 교육 시범학교를 선정해 금융 교육 수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선정된 학교 내에서도 2∼3개반 학생만 교육을 받고 교육 기간도 시범학교로 선정된 해 3∼4번을 받는 데 그쳐 교육의 연속성이 떨어진다.

지난해 동양 사태 등을 겪으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올바른 금융 습관 형성 등을 위해 조기 금융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생긴 것도 금융 교과 과정 의무화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인 새정치민주연합 신학용 의원도 지난 2월 국회에서 금융 교육을 초·중·고교 교과과정에 필수화하는 내용 등을 담은 ‘금융·기초생활소양 교육 지원법안’을 발의했다.

미국이나 영국, 호주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이미 일회성 교육의 한계점을 인식, 학교 정규 교과목으로 금융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금감원은 정규 교과목 편입이 장기 과제인 만큼 단계적 연계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일단 수학 등 주요 과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금융 부교재를 새로 개발할 계획이다. 최근엔 교육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금감원이 자체 개발한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는 ‘금융 교육 시범학교’를 중학교에서 시범실시 중인 자유학기제와 연계해 나가기로 했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에서 한 학기를 시험 없는 유연한 교육 과정으로 운영토록 하는 제도로 시범기간을 거쳐 2016년부터는 전국 중학교에서 전면 실시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유학기제에서 금융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자연스레 정규 교육 과정에 편입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초등학교에서는 방과후 수업에서 금융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이 검토된다. .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