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힘 있는 인물이 특임장관 역할… 국가안전처 장관 최경환 급부상

입력 2014-05-24 02:31


초대 국가안전처 장관에 친박(친박근혜) 핵심인 최경환(사진) 전 원내대표가 급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23일 “재난 발생 시 국가안전처가 범정부적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선 다른 부처 장관들에게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이들을 통솔할 수 있는 힘 있는 장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친박 실세인 최 전 원내대표가 초대 안전처 장관으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박근혜정부의 상징성 있는 인물이 안전처 장관으로 기용돼야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처를 신설하는 박 대통령의 진정성을 국민들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이 지난 22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재난 발생 시 안전처가 강력한 컨트롤타워가 될 수 있으려면 안전처 장관이 특임장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방법도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주문한 것도 이런 흐름과 무관치 않다.

청와대와 여권은 안전처를 총리실 산하에 두려고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대통령 직속 기구로 격상시켜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세월호 참사에 충격을 받은 국민들도 힘 있는 대통령 산하에 안전처를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에 더 많이 동조하는 상황이다.

여권은 대통령 직속 기구로 안전처를 두고 싶어도 위헌소지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다고 토로한다. 국무총리가 행정 각부를 통할하도록 규정한 헌법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놓은 묘안이 ‘안전처 장관의 특임장관 역할’이다. 안전처가 법적으로는 총리실 산하에 있지만 안전처 장관이 특임장관 기능까지 떠맡게 되면 안전처가 대통령 직속 기관처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권은 그동안 청와대에 여야 소통을 위한 특임장관 부활을 요구해 왔다. 안전처 장관이 특임장관 역할까지 할 경우 최근까지 원내대표를 맡아 야당과 협상했던 최 전 원내대표만한 적임자가 없다는 게 여권의 판단이다.

청와대는 당초 최 전 원내대표를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로도 검토했으나 안전처의 비중이 커지면서 방향을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