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총리 “靑, 세월호 참사와 관련 KBS에 협조 요청”

입력 2014-05-22 02:23


정홍원 국무총리가 21일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한 청와대의 KBS 보도개입 의혹에 대해 청와대 홍보수석이 KBS에 협조 요청을 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언론통제는 아니라고 분명히 덧붙였지만, KBS의 정권 편향 보도 의혹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묘한 발언으로 해석될 소지가 있다.

정 총리는 새정치민주연합 최민희 의원이 “청와대가 직접 사장에게 전화를 해 메시지를 보냈다. 심지어 (청와대가) 인사개입을 했다”고 따지자, “제가 알기에 이 사태(세월호 참사)가 위중하니까 수색에 좀 전념할 수 있도록 그 쪽을 좀 지원해주고 사기를 올려 달라는 취지로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보도를 통해 청와대 홍보수석이 그렇게 얘기한 것으로 봤다”며 “언론통제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정 총리는 계속 “이렇게 저렇게 보도하라고 (지시)하는 건 문제지만, ‘현재 이런 게 필요하니 참작해 달라’고 협조요청은 할 수 있는 게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침몰 사고를 처음 인지한 시점에 대한 정 총리의 발언도 도마에 올랐다. “사고 당일 오전 10시 전후에 박 대통령이 사고를 처음 알았다”는 취지로 발언했기 때문이다. 정 총리는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이 “언제 대통령이 처음 알았느냐”고 묻자, “(사고 당일 오전) 10시 전후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안전행정부가 청와대에 문자메시지로 보고했다고 알려진 오전 9시31분보다 약 30분이나 늦게 박 대통령이 사고 발생 사실을 처음 알았다는 의미다.

질의 과정에서 논란이 벌어지자, 정 총리는 “청와대 일을 일일이 제가 보고받지 않아 정확한 시간대는 알 수 없다”고 해명했다. 김 의원이 청와대의 첫 대책회의 시점을 질문하자 “잘 모른다”고 했고, “청와대에서 일어난 일을 총리가 어떻게 일일이 조사하느냐”고 말을 돌렸다. 그는 또 세월호 진상규명 조사에 대통령을 포함한 성역 없는 조사가 필요하다는 야당 의원의 주장에 “성역을 둘 필요가 없다”고 동조하기도 했다.

정 총리가 이틀 연속 구설수를 만들자 청와대는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했다.

한편 여야는 세월호 국정조사와 관련해 이견을 보였던 조사대상에 청와대를 포함하기로 했다. 국회 본회의에 보고된 ‘세월호 침몰 사고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에 따르면 조사할 사안의 범위에 ‘청와대 등의 초기 신고상황대응’을 명시했다. 여야는 국조 특위를 구성해 조사범위와 대상, 방식, 기간 등을 담은 국조 계획서를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처리할 예정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