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표 얻자고 세월호 정략적 이용은 말아야
입력 2014-05-22 02:11
6·4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22일부터 시작됐다. 광역자치단체장 17명과 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교육감, 교육의원 등 총 3952명을 새로 뽑는 경쟁의 서막이다. 흔히 선거를 민주주의 최대의 축제라고 한다. 그러나 이번만큼은 세월호 참사로 어느 곳에서도 축제 분위기를 찾아볼 수 없다.
참사 수습 과정에서 정부의 무능뿐 아니라 정치권의 그것 또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이에 대한 국민의 분노, 불신이 투표 포기와 심판론 가운데 어느 쪽으로 귀결될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다만 세월호 참사가 다른 이슈들을 집어삼키는 블랙홀이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지방선거는 주민 생활과 밀접한 지역일꾼을 뽑는 것이나 현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당운을 걸고 선거에 매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권자가 한 표 행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 책임을 묻는 것을 무의미하다 할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이 후보 선택의 유일한 기준이 되어서는 후회할 일이 생길 수 있다. 어떤 후보가 지역 발전에 적임자인지 정책과 공약, 경력을 꼼꼼히 살피는 일도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여야가 ‘조용한 선거’를 다짐해도 선거전은 과열, 혼탁으로 흐르기 마련이다. 정치권이 세월호 참사를 정략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그만큼 크다는 말이다. 벌써부터 그런 조짐들이 농후하다.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세워도 부족한 판에 이 문제로 불필요한 정쟁을 벌이는 모습은 보고 싶지 않다. 표가 아무리 중요해도 희생자의 죽음을 헛되게 하거나 유족들 가슴에 대못을 박는 일만은 말아야 한다.
유권자의 선택이 중요하다. 그나마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광역단체장 선거를 제외한 다른 선거는 깜깜이 선거가 될 판이다. 이런 때일수록 유권자의 관심과 참여가 더욱 절실하다. 그래야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을 수 있다. 어떤 선택이 대한민국을 안전한 나라로 만들고, 내 고장을 잘사는 마을로 변화시킬까 깊이 생각해야 할 때다. 투표까지 13일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