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후보들, 정책 보단 “내가 단일후보” 목소리
입력 2014-05-21 03:08
교육감선거에 뛰어든 후보자들이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선거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데다 뚜렷한 이슈도 없어 정책 차별화를 시도할 기회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그나마 시민단체들에 의해 진보·보수 단일후보로 추대된 이들은 단일후보임을 내세울 수 있어 상황이 조금은 형편이 낫다.
서울 프레스센터에선 20일 전국의 보수단일 후보들이 참석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문용린(서울특별시)·조전혁(경기도)·이본수(인천광역시) 후보 등 보수성향의 ‘대한민국 올바른 교육감 추대 전국회의’가 추대한 10명의 후보자가 참가했다. 후보들은 교육환경개선 특별회계 설치, 학교안전특별법 제정, 혁신학교의 일반학교 전환 등의 공통공약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19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전국 13개 시·도 진보성향 교육감 후보들이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조희연(서울특별시)·이재정(경기도)·이청연(인천광역시) 후보 등 13명은 살인적인 입시고통 해소, 학생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안전한 학교, 교육비리 척결을 통한 청렴한 교육청 건설 등 3대 과제를 내세웠다.
후보들은 다른 지역의 같은 성향 후보들과 함께 모이는 자리에 적극 참여해 얼굴을 알리고 있다. 출마 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공약 차별화보다는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각인시키는 게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는 데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나선 고승덕 후보는 이날 “단일후보 명칭을 사용할 때 단일화에 참여한 단체를 명기하지 않으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죄에 해당한다는 유권해석이 나왔다”며 효과 차단에 나섰다. 명함이나 현수막 등에 단일후보라고 표기하려면 추대 단체도 함께 표시하라는 지적이다. 단일후보라고 내세우는 이들이 사실상 일부 단체에 의해 추대된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계산으로 풀이된다.
이번 서울교육감선거에선 정책보다는 ‘단일후보’ 문제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단일후보’를 둘러싼 공방은 선거기간 내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