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5단체 “안전 한국위해 성금 모을 것”

입력 2014-05-21 02:55


경제계가 최근 세월호 참사 등 일련의 안전사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국민성금모금운동을 진행한다. 모금액은 국가안전인프라 구축사업과 세월호 유가족 지원 등에 사용된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한덕수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직무대행 등 경제5단체장은 2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안전 대한민국 구축을 위한 경제5단체장 회의’에서 이같이 합의했다.

성금모금은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진행한다. 성금의 규모나 모금 기한은 따로 정하지 않았다. 성금 중 일부는 세월호 참사 피해자 및 유가족에 대한 취업 지원과 의료 지원 등에 사용한다. 두산그룹은 이날 가장 먼저 성금 30억원을 기탁했다. 박용만 회장은 “보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단체장들은 또 각 기업이 최고 안전책임자를 지정해 재난의 사전예방 및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시스템을 갖추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경제단체를 중심으로 안전경영 선포식 개최, 노후 설비 등 안전시설 점검, 재난 대응 시스템 및 전문가 양성 등 사업도 진행한다.

금융권도 세월호 참사 피해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금융 지원에 나섰다. 국민, 우리, 하나은행 등 주요 은행들은 참사 피해자와 가족, 이들의 사업체에 대해 올해 11월 14일까지 긴급 생활·경영안정 자금을 지원한다. 생활안정 자금은 2000만원 한도다. 무보증 신용대출은 국내 모든 은행에서 연 5.5%의 고정금리로, 부동산 담보대출은 3.5%대의 변동금리로 쓸 수 있다. 연소득 4000만원 이하이면 서민금융상품인 새희망홀씨대출을 통해 긴급생계자금과 생활안정자금을 각각 2000만원 한도에서 5.5% 이하 금리로 7년까지 빌릴 수 있다.

보험사들은 일제히 대출 원리금과 보험료 납입을 미뤄주고 보험금이 필요한 경우 선지급(지급 심사 전 미리 지급)한다. 한화생명, 교보생명, 신한생명, 미래에셋생명 등 주요 생명보험사들은 올해 말까지 보험료 납입과 약관대출(보험계약대출) 이자 납부를 유예한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