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인사·안전 총괄 책임총리 부활 가능성
입력 2014-05-20 03:57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로 총리실 권한이 막강해지면서 책임총리 부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후임 총리 지명을 비롯한 전면적인 개각은 박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방문 이후 단행될 전망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총리 인선과 후속 개각은 오늘부터 시작되는 UAE 실무방문에서 박 대통령이 돌아온 뒤에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개각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UAE 실무방문에서 돌아오는 21일 이후 곧바로 이미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총리 후임 지명을 비롯한 내각 개편 작업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담화를 통해 밝힌 대로 정부 조직·인사를 전담할 행정혁신처, 국가 재난 대응 등을 총괄하는 국가안전처가 총리 산하로 편입되면 후임 총리의 권한과 책임은 한층 막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벌써부터 사실상 책임총리의 부활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개각 폭이 얼마나 커질지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이 대대적인 국가 개조를 천명한 만큼 내각과 청와대의 대대적인 인적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참사 여파로 조직의 대규모 축소가 불가피해진 안전행정부, 해양수산부는 물론 경제부처 장관 등 전면적인 개각 가능성이 거론된다.
여권도 내각의 전면적인 인적 쇄신이 불가피하다는 분위기다.
친박 최다선 중진인 새누리당 서청원 전 대표는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이후 정국 수습 타개책으로 내각 총사퇴를 거론했다. 서 전 대표는 YTN라디오에 출연해 “대통령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기 위해선 국무위원들이 사의를 표명하는 게 맞다”며 “경질할 사람은 경질하고 또 다시 일할 분들에게는 기회를 드리는 게 순리”라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박 대통령 담화 직후 김기춘 비서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 담화 내용을 정부조직 개편과 공직사회 혁신 등 5대 분야, 27개 후속조치로 세분화해 빠짐없이 신속하게 처리하기로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