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숙인 일자리 종합대책’ 발표

입력 2014-05-19 13:06

[쿠키 사회] 서울시가 6월부터 거리 노숙인이 많은 서울역과 영등포역 인근에 공동작업장을 운영한다. 시내에서 거리상점을 운영할 기회도 제공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노숙인 일자리 종합대책’을 19일 발표하고 공공·민간일자리 발굴 및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시내 노숙인은 4486명이며, 이중 2100명(46.8%)이 공공·민간일자리를 통해 근로활동에 참여했다. 시는 종합대책을 통해 올해 노숙인 일자리 참여율을 올해 50%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시는 우선 노숙인 900명에게 특별자활사업(500명)과 일자리갖기 사업(400명) 등 공공일자리를 제공키로 했다. 특별자활사업은 65세 이상 또는 장애인 등 근로능력이 약한 사람에게 노숙인 보호시설 청소 등을, 일자리갖기 사업은 건강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은 노숙인에게 복지업무 보조 등을 맡기는 것이다.

시는 또한 다음달부터 서울역과 영등포역 인근 2곳의 기존 응급구호방을 활용, 공동작업장을 시범 운영키로 했다. 이곳에서는 봉제나 쇼핑백 제작 등이 이뤄질 예정이며, 문화프로그램도 개설해 노숙인들의 참여율을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7월 서울역 구역사 1층에 노숙인 일터이자 직업교육장인 자활카페를 열 계획이다.

자립 가능성이 높은 노숙인 60명에게는 시내 60개 지역에서 거리상점을 운영하는 기회가 주어진다. 시가 영업시설물을 지원하고 기업이 기술·영업교육 등을 후원하는 방식이다. 공영주차장 및 SH공사 관리 공동주택 등에서 세차기술을 익힌 노숙인들이 팀 단위로 활동하는 이동세차단도 운영된다.

시는 이와 함께 노숙인을 고용하거나 자활 지원을 목적으로 한 사회적기업을 적극 발굴해 인건비 등을 지원키로 했다. 노숙인들 스스로 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 설립을 희망할 경우에는 시설 및 민간전문가와 함께 컨설팅, 서류 대행, 관련 교육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강종필 시 복지건강실장은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을 통해 자활의지가 있는 노숙인이 사회에 복귀하고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