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선거 경쟁률·달라진 것] 부산·경기 각 7명 등 전국서 72명 출사표
입력 2014-05-19 03:25
다음 달 4일 치러지는 전국 시·도 교육감 선거에 출마하려는 후보자들의 면면이 드러났다. 지난 16일 공식 후보등록 마감까지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 후보로 등록한 이들은 전국적으로 72명에 달한다. 모두 74명이 후보로 등록했던 2010년 당시 교육감 선거와 비슷한 숫자다.
각각 7명이 등록한 경기도와 부산시 교육감 선거가 가장 경쟁률이 치열한 곳으로 꼽혔다. 이어 대전시 교육감 선거에 6명의 후보가 등록했고, 광주시 교육감 선거에도 5명이 후보로 등록했다. 경쟁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각각 3명만이 등록한 대구·강원·전남·경북·경남 등 5곳이었다. 나머지 지역에선 각각 4명의 후보가 교육감 선거에 뛰어들었다.
대다수 지역에서 양자대결보다는 다수 후보 간 경쟁체제가 펼쳐지면서 적은 표 차이로 당락이 갈릴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조그마한 요인이 당락을 가를 수 있는 만큼 이번 교육감 선거부터 도입되는 ‘교호(交互)순번제’ 투표용지가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교호순번제는 선거구마다 후보자 배열이 다른 투표용지가 유권자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투표용지에는 후보들의 이름이 가로로 표기되는데, 기초의원 선거구마다 그 순서가 다르다. 만약 해당 지역 교육감 선거에 A·B·C 3명의 후보가 출마했을 경우 ‘가 기초의원 선거구’에서는 A-B-C 순서로 후보 이름을 배열한 투표용지가 배부되지만 ‘나 기초의원 선거구’에서는 B-C-A 순서로 표기된 투표용지에 투표해야 한다. 또 다른 선거구에서는 C-A-B 순서로 표기된 투표용지가 주어지는 식이다. 중앙선관위는 선거구별 유권자 숫자를 감안, 순서가 다르게 표기된 투표용지가 최대한 비슷한 양이 배부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투표용지 순번은 추첨을 통해 결정된다.
교호순번제 투표용지 도입은 지난 1월 말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결정됐다. 교육감 선거의 경우 정당 공천이 없는데도 투표용지에 기재된 이름 순서에 따라 특정 정당의 후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그동안 교육감 선거는 후보의 이름이 몇 번째 자리에 배치되느냐가 당락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쳐 ‘로또선거’라는 지적을 받았다. 첫 번째 자리는 여당인 새누리당, 두 번째 자리는 제1야당(현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받아들어져 득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교호순번제가 도입된 만큼 유권자들이 해당 후보를 특정 정당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생각해 투표하는 부작용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선거구에 따라 어떤 순서의 투표용지가 배포되는지에 따라 유불리가 반영될 가능성은 있지만 그동안 ‘로또선거’라는 지적을 받았던 부분은 희석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그러나 이마저도 후보가 난립한 지역에서는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후보 난립으로 각 후보의 이력과 정책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유권자들의 경우 지자체장 투표를 한 후 교육감 투표를 아예 하지 않거나 지자체장 투표 순서에 따른 맹목적 투표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역에 따라선 ‘로또선거’의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셈이다.
세종=정승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