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기후변화 심해지면서 재난규모 확대
입력 2014-05-18 15:11
[쿠키 사회] 제주지역의 기후 변화가 날로 심해지면서 재난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제주도는 ‘2013년 재난 관리 실태’ 보고서를 통해 복잡한 사회구조, 인구 유입 등으로 재난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지만 재난 전문 인력과 장비, 수용시설, 내진 보강 등 재난 안전 대비책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18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진에 대비한 도내 공공시설의 내진율은 39.3%로 3년째 39%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내진 보강이 필요한 도내 공공시설은 모두 761곳으로 조사됐으나 이 가운데 내진설계가 적용되고, 내진 성능이 확보된 시설은 288곳에 불과했다.
어항시설과 폐기물 처리시설의 내진율은 0%를 기록했고, 항만 및 병원시설도 12.5%에 머물렀다.
지난 한 해 동안 내진 보강이 이뤄진 시설은 도로시설물 11곳에 불과했고, 공공건축물과 수도·어항·공공하수·항만·병원시설 등은 전혀 내진 보강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지진해일 대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방재청이 최근 발표한 ‘인명피해 우려 재해 취약지역 현황’에 따르면 도내 해일(지진해일) 위험 지역은 해안을 중심으로 94곳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재난 대비 의료시설은 14곳, 수용시설은 1만1186명으로 최근 3년간 같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 방재물자와 구조·복구장비, 산불진화 장비, 기술·기능 인력 등도 수년째 같은 수치를 보였다.
도 관계자는 “제주지역은 지역안전도 진단에서도 하위권인 7∼10등급을 기록하고 있어 재난 안전대책이 절실하다”며 “태풍 등 자연재난에 직접적으로 노출돼 있고 관광지인 점을 감안해 지역 차원의 재난안전 관리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