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 실버 라이프] 사랑… 입양아·가족에게 한국 효사상 가르쳐

입력 2014-05-16 17:48 수정 2014-05-17 02:40


다시 꽃 피우다

나이가 든다는 건 아름다운 일이다. 나이에 따라 U자형 패턴을 보이는 인간의 행복지수를 봐도 알 수 있다.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20, 30대는 비교적 행복지수가 높다가 서서히 내리막길을 달려 40, 50대에 최저점을 찍는다. 그리고 가족 부양과 자녀 양육의 책임감에서 벗어나는 60, 70대에 행복지수는 다시 올라간다. 소득이나 지적 수준에 상관없이 나타나는 이 지수를 볼 때 분명 나이 듦은 선물이다.

중요한 건 아름답게 나이 들기, ‘웰에이징(Well-aging)’이다. 국제적인 기독교 공동체 브루더호프를 섬기는 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 목사는 “하나님은 ‘너는 평생 돈을 얼마나 벌었니’ ‘네 인생은 성공한 인생이니’ ‘사람에게 얼마만큼의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었니’라고 묻지 않으신다”며 “나눠주고 섬기는 일만큼 인생에서 중요한 건 없다”고 말한다. 삶의 의미를 찾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얘기다. 그래야 나이가 들면서 겪는 인생의 변화를 은혜로 받아들일 수 있다. 주께 하듯 일하는 정은상 장로, 나누고 사랑하는 박성호 집사, 감사로 신앙을 전하는 지정희 권사는 그런 면에서 다시 꽃피는 ‘앙코르 인생’을 살고 있다.

“무역과 해운 관련 일을 하며 60세에 은퇴할 때까지 30년 동안 세계 방방곡곡을 다녔습니다.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해도 낯선 곳을 찾아갈 때 어려움을 많이 느꼈습니다. 그럴 때 현지인의 한마디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는 박성호(72·송파구 남포교회·사진) 집사가 나눔의 삶을 사는 이유다. 그는 28년째 한국관광공사 소속 명예통역안내원, 6년째 밀알복지재단 대청종합사회복지관과 강남구건강가정지원센터 영어교실 강사로 자원봉사하고 있다.

박 집사의 봉사를 통한 나눔의 삶은 1986년 아시안게임 때부터 시작됐다. 그는 자신이 가진 달란트를 사장시키는 것보다 자신의 것을 주는 것이 더 가치 있다고 생각했다. 나누는 사람에겐 작지만 받는 사람에게는 큰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뭔가를 베푸는 삶이란 부와 능력을 가진 사람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 본을 따라 살아가길 원하는 크리스천에게는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의 통역봉사 대상은 주로 입양아나 입양가정이다. 해외입양아가 고국을 방문하면 한국의 역사·문화 현장을 안내하고 때로는 생모를 찾는 일을 도왔다. “한국인이지만 어린 나이에 외국 가정으로 입양되어 한국을 잘 모르는 아이들이나 그 아이들을 키우는 외국가정이 많습니다. 생모를 찾은 입양아를 위해 통역한 일이 있는데 가슴이 벅차올라 통역이 쉽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는 입양 부모들과 입양아들이 보내는 감사편지에 보람을 느낀다. 한국의 효 사상을 가르쳐 보내면 아이의 변화에 부모들도 고마워한다. 또 그의 안내를 받은 사람들이 계속 친구, 친척, 이웃을 소개해 봉사에 자부심도 느낀다. 그는 한국관광공사가 2500명의 자원봉사자 중 선정하는 우수회원으로 3년 연속 1등을 차지했다.

박 집사는 “대중교통을 이용해 관광안내를 하기 때문에 하루에 평균 8∼9㎞를 걸어 몸이 힘들 때도 있다”며 “그러나 나로 인해 행복해하는 사람들이 있는 한 계속 봉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