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척돔구장 계약 힘겨루기 ‘서울시 vs 넥센’… 구장 사용료·광고권 시각차

입력 2014-05-16 03:45


넥센 히어로즈가 내년 2월 개장하는 국내 최초 돔구장인 고척돔으로 홈구장을 이전하는 문제를 놓고 서울시와 힘겨루기를 지속하고 있다. 고척돔의 소유권을 가진 서울시와 구장 사용료와 광고권 등 계약 조건에 대한 시각차가 여전하다. 그러나 결국 이전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우세하다.

서울시 체육진흥과 오제성 과장은 지난 14일 “서울시와 넥센은 내년 시즌부터 고척돔을 새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데 합의했다”며 “오는 9월 정식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기영 넥센 홍보팀장은 15일 “넥센은 고척돔 사용에 대해 서울시와 최종 합의한 적이 없다”며 “고척돔에 간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협의를 진행한 것은 맞지만 프로팀 전용 사용 여부, 영업권과 광고권 소유 인정 여부, 수익 사업 등 세부적으로 합의된 것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어 “구장의 안정적인 사용 여부와 구단 자생에 대한 서울시의 전향적인 검토가 없다면 우리는 옮길 수 없다”고 못박았다.

◇서울시의 골칫덩어리 고척돔=고척돔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디자인 서울’ 정책에 따라 아마추어 야구의 메카였던 동대문구장을 허물고 디자인 박물관으로 지으면서 그 대체구장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2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초 돔구장으로 2007년 설계 당시엔 하프돔이었으나 2009년 4월 완전한 돔구장 형태로 설계가 변경됐다. 건설비는 설계 변경 등 각종 건설비용이 늘어나 2007년 오 전 시장 당시 예상됐던 529억원에서 약 5배가 늘어난 2713억원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서울시가 동대문구장의 대체구장으로 고척돔을 만들었지만 아마추어 야구계에 전적으로 내놓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엄청난 건설비가 투입된데다 항상 냉·난방시설과 환기시설을 가동해야 하는 돔구장 특성상 시설 관리 유지비 역시 엄청나기 때문이다. 고척돔의 경우 서울시는 연간 유지비를 약 80억원 정도로 예상하고 있지만 해외 돔구장 사례를 볼 때 100억원을 넘길 수도 있다.

엄청난 부채에 시달리는 서울시는 결국 2012년 11월 발표한 ‘서울시 2020 체육정책 마스터플랜’에서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넥센 등 서울 연고의 3개 구단 가운데 하나를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이들 3개 구단들은 모두 난색을 표했다. 대기업을 모기업으로 둔 구단이라고는 해도 두산과 LG 모두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모기업 없이 타이틀스폰서 마케팅 등을 통해 운영비를 조달하는 넥센은 더더욱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척돔 인근은 대중교통 수단이 좋지 않아 접근성 면에서도 상당히 나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돔구장의 넥센 유치 관건은 사용료와 광고권=우리나라의 스포츠 시설은 지자체가 가지고 있다. 9개 구단의 홈구장 역시 모두 지자체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9개 구단이 각 지자체에 내는 사용료는 천차만별이다.

서울시의 경우 지자체 가운데 야구장을 이용해 가장 많은 돈을 가져가는 지자체다. LG와 두산은 3년 단위로 잠실구장 위수탁 계약을 경신하고 있는데, 서울시는 매번 계약할 때마다 위수탁료를 올리고 있다. 현재 서울시는 잠실구장의 위수탁료로 LG와 두산으로부터 25억5000만원을 받고 있다. 게다가 야구장 내 광고권도 서울시 소유다. 지난 1월 입찰을 통해 연간 103억5000만원을 써낸 회사가 광고대행사로 선정됐다. LG와 두산으로선 아무리 열심히 야구를 하고 마케팅 활동을 해도 수익을 내기 어렵다.

넥센의 경우 입장수익의 약 10%를 내고 일일대관 형식으로 목동구장을 사용한다. 다만 모기업이 없는 구단의 사정을 고려해 서울시는 광고권을 넥센에 넘겼다. 대신 광고수익의 일정비율을 서울시에 납부하는 조건이다.

사실 넥센은 지난해 돔구장을 사용할 때의 여러 가지 이익과 문제점에 대한 컨설팅을 받았다. 현재 목동구장이 너무 협소한데다 아마추어 야구와 같이 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서울시가 내건 조건으로는 구단 사정상 절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넥센이 워낙 강경하자 다양한 수정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넥센은 사용료도 훨씬 줄여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