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주권 운동본부’ 설립 추진… 농목연대 “식량 자급률 23% 우리 쌀 우리가 지키자”

입력 2014-05-15 18:55 수정 2014-05-16 02:45


식량주권을 지키고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기 위한 ‘식량주권 지키기 기독교운동본부(식량주권운동본부)’가 출범한다.

한국기독교농촌목회자연대회의(농목연대)는 15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한국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생명윤리위원회와 공동으로 ‘식량주권과 먹거리 안전을 위한 기독교 토론회’를 갖고 식량주권운동본부 설립 계획을 밝혔다.

농목연대 대표 조언정 목사는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먹거리 안전과 식량주권의 문제는 핵심적인 과제”라며 “식량주권운동본부를 만들어 먹거리 안전과 식량주권을 실현하는 데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조 목사는 “통일벼로 쌀 자급을 이룬 지 40여년 만에 쌀 자급률이 3년 연속 80% 수준으로 떨어지는 쌀 부족시대를 맞게 됐다”며 “무분별한 수입개방으로 식량자급률이 23%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쌀 자급마저 무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쌀 자급의 포기와 쌀 시장의 개방은 농어민의 궁핍한 삶으로 연결되고, 농어민이 교인의 대다수인 농어촌교회의 아픔으로 이어진다”며 “이제는 기독교가 먹거리 안전과 식량주권을 지키는 운동에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식량주권운동본부의 활동 방향은 ‘쌀 관세화 통한 전면개방 반대운동’ ‘먹거리 불안 야기하는 각종 경제협정 추진 중단운동’ ‘국민기초식량보장법 제안’ ‘지역 중심의 대안적 먹거리 체계 구축’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식량자급률의 법제화’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 도입’ ‘친환경농업 지원대책 마련’ ‘유전자재조합식품(GMO)과 방사능오염 식품 등 먹거리 안전 위해요소 제거법 제정’ ‘농수축산물 직거래를 통한 유통분야 개선’ ‘영·유아 보육시설의 친환경 우리 먹거리 급식 의무화’ ‘초·중·고 친환경 우리 먹거리 무상급식 전면 실시’ 등을 정부에 요구할 방침이다.

농목연대는 각 교단 농목협의회와 교단·교회 내 여성기구, 기독교시민사회단체 등 기독 단체들에 참여를 요청했다. 특히 농민과 도시 소비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글·사진=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