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사회복지연대 “형제복지원과 공무원 유착” 폭로

입력 2014-05-15 15:53

[쿠키 사회] 사회단체가 군사정권 시절 인권유린 행위로 500여명이 숨져 재조사가 추진 중인 부산 형제복지원(현 느헤미야)과 공무원의 유착관계를 폭로, 부산시가 진상조사에 나섰다.

부산사회복지연대는 15일 “복지원이 금품을 제공하거나 수익사업체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발주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무원들과 유착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확인됐다”며 관련 입증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07년 10월 형제복지원 수익사업체인 부산 장림동 빅월드레포츠의 21억원짜리 리모델링 공사를 부산시 공무원 A씨의 아들이 운영하는 인테리어업체가 수주했다.

또 2011년 10월에는 형제복지원의 수익사업인 괘법동 사상해수온천 15억원짜리 리모델링공사도 A씨의 아들이 대표로 있는 디자인업체가 맡았다.

A씨는 2005년 6월과 9월 시가 형제복지원에 각각 15억원과 35억원의 장기차입허가를 내줄 때 담당 과장으로 근무했으며 2009년 퇴직 이후 부산복지개발원장을 지냈다.

이에 대해 A씨는 “공사 발주는 현직에서 퇴직한 뒤였으며 나와 무관한 일”이라고 해명했다.

형제복지원 원장에게 수천만원의 돈을 빌린 공무원도 있었다.

2007년 12월 28일 형제복지원 원장이 외환은행 모 지점에서 시 전 공무원 B씨의 우리은행 계좌로 2000만원을 보낸 송금표를 공개했다.

B씨는 1992년부터 2004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형제복지원의 관리`감독과 각종 인·허가를 담당하는 사회복지과에서 일했다. B씨는 “개인적인 친분으로 빌렸고 절반 이상 갚았다”고 말했다.

이밖에 시 전 공무원인 C씨의 남편은 2010년 5월부터 8개월간 형제복지원의 유일한 복지시설인 중증장애인요양시설 실로암의 집 원장으로 근무했다. C씨는 당시 부산시 아동청소년담당관실에서 일하다가 2011년 퇴직했다.

부산사회복지연대 관계자는 “형제복지원이 폐쇄 이후에도 이름을 바꿔가며 복지재벌로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배경은 부산시 공무원의 비호와 암묵적 지원 때문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제기된 의혹에 대해 진상조사를 거쳐 경찰이나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국민일보 쿠키뉴스 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