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6·4 지방선거 (7) 충청북도] “수성”vs“도전”… 초접전 양상
입력 2014-05-15 02:11
“모든 후보가 안전을 외치고 있지만 실천 가능한 공약인지 의문이네요.”
14일 오전 충북 청주시 상당구 충북도청에 마련된 세월호 침몰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한 도민들은 도지사로 출마하는 후보자들에게 한결같이 ‘안전 불감증 해소’를 주문했다.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책임 있는 행정을 기대했다. 이들은 “여야 구분 없이 모든 후보자가 안전한 충북을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과 정책만으로는 재난 사각지대가 없는 사회를 만들 수 없다”며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제시되길 희망했다. 청년층이 많이 찾는 청주시 성안길에서 병원을 운영하는 이모(40)씨는 “정당별 후보가 누구인지 잘 모르지만 모두 다 안전만을 외치고 있는 것 같다”며 “어떤 후보의 말을 믿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도민들은 또 도지사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경제 살리기를 꼽았다. 청주 중앙공원에서 만난 최모(57)씨는 “이번 지방선거가 유권자들의 마음을 흔들 수 있는 정책 대결로 이어질지 두고 봐야겠다”며 “안전하고 잘살 수 있는 충북을 기대하면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학생 김모(22)씨도 “무엇보다 잘 먹고 잘살 수 있는 충북을 만들도록 노력하는 도지사를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북지역 최대 현안은 지난해 백지화된 오송역세권 개발사업과 오는 7월 통합 청주시 출범이다. 오송역세권 사업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자금줄이 막히며 사업 추진에 난항이 계속됐고 민간개발 방식과 부분공영개발 방식 등을 추진하다 개발지구 지정이 취소됐다. 역대 지방선거 결과를 보면 도지사와 청주시장은 같은 당에서 배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에도 통합 청주시 출범 등과 맞물려 같은 상황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아 여야 간 관련 정책 대결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KTX 오송역 인근의 주민 박모(43)씨는 “민선 6기에는 오송역세권 주민들의 재산권을 보호해 주길 바란다”며 “성의 있는 정책으로 믿고 따를 수 있게 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원군에 사는 한모(37)씨는 “통합 청주시의 성공적인 출범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과 균형 있는 도시개발이 최우선 과제”라고 지적했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시종 현 도지사와 윤진식 새누리당 후보가 박빙의 승부를 벌이고 있다. 이 후보는 ‘연속성 있는 책임 행정’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윤 후보는 ‘잃어버린 충북의 4년’을 찾아오는 데 앞장서겠다고 맞서고 있다.
두 후보는 충북 충주 출신으로 청주고 동기동창인 50년 지기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 1581표 차이로 승리했던 이 지사가 윤 후보와 6년 만에 리턴매치를 벌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후보들의 이력과 경력이 비슷해 선거 막판까지 박빙의 승부가 예상된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