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수습 인적쇄신 어떻게…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 與, 개각 방향 제시

입력 2014-05-14 03:21


새누리당에서 개각에 대한 논의가 꿈틀대고 있다. 세월호 참사 수습을 위한 인적 쇄신이 단행될 것이라는 데 이견은 없다. 문제는 개각 시기와 폭이다.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론 악화에 위기감을 느끼는 새누리당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청와대에 개각을 공개적으로 촉구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지방선거 다가올수록 개각 요구 확산 가능성=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13일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개각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고 전제한 뒤 “향후 개각이 이뤄진다면 국민의 마음을 읽고, 국민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공감할 수 있는 분이 기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MBC 라디오에 출연해 개각과 관련, “백지에서 시작해야 된다”면서 “비상한 시국이기 때문에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으로 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남경필 경기도지사 후보도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세월호 참사 수습에 대해 “인사 부분에 있어서 이제는 단행할 시기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방선거전이 본격화될수록 이 같은 목소리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지도부·중진의원들, “중폭 이상 개각” 한목소리=새누리당은 세월호 참사 대처 과정에서 미숙함을 드러낸 교육부·안전행정부·해양수산부 장관의 경질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이들 3개 부처 장관 외에 어느 장관들이 추가로 교체되느냐에 관심이 집중된다.

국민일보가 개각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새누리당 지도부와 중진의원들은 “중폭 이상의 개각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우택 최고위원과 5선의 이재오 의원은 ‘전면 개각’을 요구했다. 친박 핵심인 홍문종 사무총장과 최경환 전 원내대표 역시 ‘대폭 개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개각 시기에 대해서는 ‘총리 인선은 지방선거 이전, 장관 인선은 지방선거 이후’에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지방선거 이전에 총리·장관 인선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았다. 서청원 전 대표는 “세월호 참사 수습이 마무리되고 개각이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 ‘국민 신뢰’, ‘국민 통합’ 등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국무총리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임 원내지도부였던 최 전 원내대표와 윤상현 전 원내수석부대표는 ‘정무 능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새정치연합, “현 시점에서 개각 논의는 시기상조”=새정치민주연합은 사고 수습과 진상규명 이후에 책임자 처벌이 가능하다는 ‘선(先)수습, 후(後)문책’ 기조를 견지하고 있다. 새로운 각료들을 상대로 정부의 초동 대처 미흡과 구조 실패를 추궁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판단에서다.

새정치연합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각 운운하는 것은 대통령에게로 책임이 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치적 미봉책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광온 대변인은 “국면을 바꾸기 위한 개각은 국민을 속이는 일이며 세월호 참사에서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하윤해 정건희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