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표 확정한 여야 ‘3대 변수’ 돌파 나섰다
입력 2014-05-14 03:56
새정치민주연합 전북도지사 경선을 끝으로 17개 광역단체장 선거전의 대진표가 최종 확정됐다. 오는 15일 후보등록을 앞두고 여야는 본격적인 선거체제에 돌입했다.
새누리당은 13일 국회에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을 열고 공동 선대위원장에 황우여 대표와 이완구 원내대표, 서청원 이인제 김무성 최경환 의원, 한영실 전 숙명여대 총장 등 7명을 임명했다.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중진 의원들을 전면에 배치해 총력전에 나설 것임을 예고했다. 위원장단 산하에는 총괄본부와 종합상황실을 두고 선거 전반을 기획·관리하도록 했다. 총괄본부에는 전략·홍보·정책·유세·직능·여성·청년·실버·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9개 본부가 운영된다. 이와 함께 14일 임기가 끝나는 황 대표 등 최고위원들을 대신해 7월 전당대회까지 당 운영을 맡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이 원내대표를 선임했다.
새정치연합은 앞서 지난달 11일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와 문재인 손학규 정세균 정동영 김두관 상임고문 등 7명이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참여하는 ‘무지개 선대위’를 구성했다. 후보등록일이나 오는 22일 시작되는 선거운동 기간에 맞춰 차분한 발대식을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새누리당은 당초 박근혜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과 정당 지지도에 기대를 걸었으나 세월호 참사 이후 여권 전반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면서 수세에 몰렸다. 새정치연합은 세월호 사고에 대한 정부와 여당의 책임론을 집중 추궁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월호 사고가 모든 이슈를 집어삼킨 데다 전국적인 애도 분위기 속에 유세도 자취를 감춰 판세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선거 당일 투표율과 최근 늘어난 무당파의 향배, 40대 여성의 표심이 선거 결과를 가르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여야는 ‘안전’을 전면에 내세운 6·4지방선거 공약집도 내놨다. 새누리당은 재난 대응 컨트롤타워를 강력한 기구로 재편하고 퇴직 공직자의 유관단체 취업을 엄격히 제한하도록 했다. 새정치연합은 안전관리 시스템 전면 개편과 서민부담 경감에 중점을 뒀다. ‘여유는 더해주고 부담은 줄여주고 안전은 지켜준다’는 의미로 ‘더줄지 생활공약’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다만 새정치연합 김영춘 부산시장 후보와 무소속 오거돈 후보의 단일화 합의는 불발됐다. 김 후보 측은 이날 오후 7시쯤 오 후보와 단일화를 추진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가 불과 세 시간 만인 오후 10시쯤 협상 제안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개혁과제에 대한 합의를 단일화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김 후보 측은 담판을 요구한 오 후보 측을 “무례하다”고 비난하며 협상 제안을 철회했다. 이에 따라 부산시장 야권후보 단일화는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