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여기에서의 헬레니즘(Hellenism)은 미술사 시대구분 용어인 그리스 고전시대 이후의 국제화된 그리스 문화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광의의 고대 고전문화(Antike) 전반을 의미한다.
헤브라이즘(Hebraism)이라는 개념 역시 구약성서에 기반한 유대주의라는 원래의 뜻을 넘어 보다 보편적인 기독교신앙과 신학에 따른 기독교문화(Christentum)를 가리킨다.
그간 서양미술사 연구에서 고대 고전(Greco-Roman)미술이 미술사 전체를 관통하며 규정짓는 Leitmotiv(반복해서 나타나는 동기)로서 시대별로 양식사에서 억제, 잠복, 소생(르네상스)을 반복하는 과정이 국내에 집중적으로 소개되어 왔다(조르조 바사리-요한 요하킴 빙켈만-에르빈 파노프스키-에른스트 한스 곰브리치-아놀드 하우저).
반면에 미술사에 나타난 헤브라이즘의 규명에 있어서는 기왕의 양식사와 도상학적 방법론, 예술사회학과 문화인류학적 접근 외에 성서와 교회사의 관점, 신학적·영적 해석이 부족한 점이 없지 않았다.
본 칼럼에서는 서구문화를 형성한 또 다른 중심축으로서 무엇보다도 예술적 영감의 원천인 헤브라이즘(Hebraism) 즉 기독교 신앙과 신학 및 교회사와 회화, 조각, 교회건축 등 시각적 조형예술과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초대교회로부터 현대교회에 이르기까지 유럽교회의 신앙과 신학이 교회건축과 조각, 회화 등에 어떻게 표현되고 담겨왔는지 그리고 역으로 미술활동이 시대의 정신과 문화, 신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해 우리 시대 기독교미술(예술)의 과제와 그 실천에 도달하는 것이 본 칼럼의 목적이다.
목 차
1. 초기 기독교미술
1) 기독교 공인 이전의 회화, 조각
2) 기독교 공인 이후의 교회건축
2. 비잔틴미술 : 동방정교회의 미술
1) 성상파괴논쟁 이전의 초기 비잔틴미술
2) 중기, 후기 비잔틴미술
3) 동방정교회의 선교와 비잔틴미술의 확대
3. 카롤링거왕조와 오토왕조의 미술
1) 카알대제와 카롤링거 르네상스
2) 신성로마제국의 이상과 오토왕조의 미술
4. 로마네스크미술
1) 성지순례와 로마네스크 건축
2) 종말론과 로마네스크 조각, 회화
5. 고딕미술
1) 도시의 발흥과 고딕대성당
2) 북유럽과 이탈리아의 고딕 미술
3) 중세의 개혁과 지오토(Giotto)
6. 르네상스미술
1) 초기 르네상스 운동 : 고대 고전주의 미술의 부활
2) 전성기 르네상스 : 이탈리아와 알프스 이북
3) 후기 르네상스와 매너니즘
4) 종교개혁과 미술 : 루터와 칼빈, 트렌트공의회의 미술이해
7. 바로크, 로코코미술
1)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등지의 카톨릭 바로크
2) 네덜란드의 개신교 바로크
3) 로코코미술- 귀족들의 미술
8. 19세기의 미술 :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아르누보, 인상주의 등
9. 20세기의 미술 : 모던 아트의 시대
10. 우리 시대 기독교미술의 과제
필자약력
독일 칼스루에벧엘/슈투트가르트제자교회 담임목사
미션유럽 상임대표
예술목회연구원 유럽지부장
독일 바덴주교회 국제교회협의회(IKCG in Baden) 회장단
감리교 유럽지방 감리사 역임
유럽감리교협의회(EMC) 회원 역임
연세대학교 신학과, 대학원 졸업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신학부 재학
E-mail : jejastgt@yah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