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완구 새누리당 신임 원내대표 “선거전이라도 국조·특검 등 가능”

입력 2014-05-12 02:32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11일 “유가족들의 동의, 국민적 합의가 이뤄진다면 야당과 협의해 지방선거 이전에라도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국민일보와 기자회견을 갖고 “세월호 참사 수습을 6·4지방선거 시기와 연관짓는 것은 부질없고 적절치 않은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11일 “유가족들의 동의, 국민적 합의가 이뤄진다면 야당과 협의해 지방선거 이전에라도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국민일보와 기자회견을 갖고 “세월호 참사 수습을 6·4지방선거 시기와 연관짓는 것은 부질없고 적절치 않은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세월호 수습과 대책 마련, 동시에 해도 좋아…국조·특검 어떤 것도 수용”=이 원내대표는 여권의 기존 ‘선(先) 수습, 후(後) 대책 마련’ 방침과 관련해 “선후 가릴 것 없이 수습과 대책 마련을 동시에 해도 좋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은 분명히 밝혔다. 그는 “현재 29분의 실종자가 아직 수습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여야의 참사 진상 규명,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이 실종자 수색작업처럼 분·초를 다투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또 “국정조사 등을 하려면 현장 책임자들을 국회로 불러야 하는 현실적 문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여권의 입장이 달라졌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국정조사·국정감사·특별검사·청문회·특별법 등 현재 논의되는 세월호 참사 수습 방안과 관련해 “어떤 것도 다 수용할 수 있다”면서 “여야가 초당적 입장에서 고민하고 외국 사례까지 참고해 무엇이 가장 좋은 방안인지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조·특검 등을 한꺼번에 실시하는 것은 증인들을 여러 곳에서 불러야 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 원내대표는 “19대 국회뿐만 아니라 이전 국회의 여야 모두 안전 문제와 재난관리 등에 소홀했음을 솔직히 인정하며 스스로 반성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또 “이번 대책을 국회가 짧은 시간에 대충대충 마련하면 ‘국회의 세월호’가 된다”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민간 전문가까지 참여하는 거대한 팀을 만들고 그 토대 위에 종합 재난·안전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나를 충청권 인사로 가둬두지 말아 달라”=이 원내대표는 10일 배석자 없이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와 2시간 반 동안 회동한 사실에 대해서도 얘기했다. 그는 “박 원내대표의 인상이 아주 좋았다”면서 “합리성 속에 소신이 뚜렷한 분”이라고 치켜세웠다. 또 “정치적으로 더 많이 발전할 수 있는 분이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고 덕담했다. 대야 관계에 대해선 “과감한 정치적 양보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오면 그렇게 할 것”이라며 “내가 그렇게 하면 저쪽에서도 그렇게 하리라 믿는다”고 기대했다.

이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을 포함해 첫 충청권 출신 원내대표라는 지적에 “‘충청권 맹주’라는 표현을 쓰면서 나를 충청권 인사로 가둬두지 말아 달라”면서 “특정 지역에 매달리기보다 전국적 차원에서 여러 문제에 접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의 6·4지방선거 전략에 대해선 “세월호 참사에 용서를 구하고 국가 대개조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국민들이 우리에게 마음을 주실 것”이라고 희망했다.

당선 인사말에서 강조했던 건강한 당·정·청 긴장관계에 대해 묻자 “새누리당은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는 공동운명체”라며 “다만 국회의 책무는 여야를 떠나 정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이기 때문에 건강한 긴장관계는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하윤해 권지혜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