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버릇 못버린 스포츠토토 입찰社들…사업자 선정 앞두고 평가위원 사전접촉
입력 2014-05-10 02:46
연매출액 3조원의 체육진흥투표권(스포츠토토) 발행사업 수탁사업자 선정을 둘러싸고 일부 기업이 평가위원을 사전 접촉한 정황이 포착돼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정부는 이번 사업자 선정에서 도덕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고 있어 조사 결과가 우선협상대상 선정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조달청은 9일 “일부 입찰 업체가 평가위원을 사전 접촉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조달청에 위탁한 사업자 선정 평가업무는 제안서 평가 80%, 입찰금액 평가가 20%를 차지한다. 따라서 평가위원 선정 과정에서 보안과 공정성 유지가 중요하다. 특정업체가 사전에 평가위원을 접촉해 매수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신고 내용에 따르면 한 컨소시엄에 포함된 A사와 B사가 평가위원과 사전 접촉을 시도했다. 평가위원 명단은 입찰 당국이 대외비로 관리한다. 그러나 두 회사는 지난 7일 오후 입찰 평가위원 후보군에게 “저희 회사는 ○○사와 함께 사업 참여합니다. 혹시 내일 서울 가시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라는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조달청에 따르면 입찰 제안서는 8일 오후 1시쯤 마감됐고, 곧바로 후보 명단에서 컴퓨터 무작위 추출을 통해 평가위원을 선정·통보했다. 조달청 관계자는 “사전에 평가위원 명단을 입수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한 교수는 “굵직한 입찰이 예정되면 평가위원 선정 여부를 묻는 업체들의 연락이 빗발친다”며 “전화를 받지 않거나 문자를 지우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어쩌다 연결이라도 되면 불필요한 오해를 살까 봐 염려된다”고 말했다. 평가위원 후보 명단이 어느 정도 노출됐기 때문에 업체들의 ‘관리’를 원천적으로 막기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업체들은 자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평가위원 후보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위원 선정 여부를 물으며 ‘선처’를 부탁한다. 실제로 업체가 평가위원 명단을 파악해 뇌물을 주고 유리한 대가를 얻어낸 사례도 여럿 적발됐다. 지난달 서울북부지법은 경북도 신청사 건설 과정에 심의위원으로 참여한 지방 국립대 모 교수에게 징역 3년6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이 교수는 건설사로부터 유리한 평가를 해주는 대가로 5만 유로를 뇌물로 받은 혐의를 받았다.
스포츠토토의 이전 수탁사업자인 오리온그룹은 임원이 스포츠토토를 통해 자금을 빼돌리고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검찰에 기소되면서 사업권을 박탈당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이번 입찰에서 도덕성을 최우선 심사기준으로 삼겠다고 여러 차례 공언했다.
선정수 임성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