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후 전동차 모두 바꾼다
입력 2014-05-10 02:17
서울시가 지난 2일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발생한 전동차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안전 분야 투자를 최우선으로 반영, 2022년까지 노후 전동차를 모두 교체키로 했다.
시는 서울메트로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의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방안’을 9일 발표했다. 박원순 시장은 “세월호 참사로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이때 발생한 지하철 추돌사고로 시민들께 심려를 끼쳐 무한책임을 느낀다”면서 “시민 안전과 직결되는 상시적 업무는 서울메트로가 직영으로 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현재 지하철 1∼4호선 전동차는 모두 1954량이며, 이 중 36%인 714량은 사용연수가 18년 이상 돼 고장이 잦다. 시는 우선 2호선 노후 전동차 500량을 당초 계획보다 4년 앞당겨 2020년까지 ATO(자동운전장치) 차량으로 교체하고, 3호선 150량은 2년 앞당겨 2022년까지 ATO 차량으로 바꾼다는 방침이다. 차량 교체에는 8775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1호선 64량은 내년까지 대폭 수선키로 했다.
현재 호선별로 운영 중인 관제센터는 2019년부터 ‘스마트 통합관제센터’로 통합 운영된다. 아울러 시는 사고나 운행 시 장애가 발생할 경우 5분 내에 상황 전파와 시민보호, 초기 대응을 완료하는 ‘골든타임 목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서울메트로의 장정우 사장은 이날 전동차 추돌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박 시장은 이와 관련, “책임질 부분은 지게 하겠다”면서도 “지금은 긴급 대책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고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혀 사고 수습 후 사표를 수리할 방침임을 내비쳤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