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尹의원 한마디가 빚은 사회적 비용 누가 갚나

입력 2014-05-10 02:11

지난해 ‘노무현 전 대통령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공방이 한창일 때 새누리당은 노 전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사실상 NLL을 포기했다면서 야당을 몰아붙였다. 당시 새누리당에서는 원내수석부대표였던 윤상현 의원이 공격수로 활약했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이 NLL 관련법을 포기하자고 할 때 ‘네. 좋습니다’라고 말하고 NLL을 ‘괴물’로 표현한 장본인이 노 전 대통령”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랬던 윤 의원이 8일 원내수석부대표 이임 기자회견에서 말을 바꿨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이 네 번이나 ‘포기’라는 단어를 쓰며 노 전 대통령을 유도했으나 노 전 대통령께서는 한 번도 포기라는 말을 쓰지 않으셨다. 노 전 대통령께서 세게 반박하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대통령이 어떻게 NLL, 대한민국 영토를 포기할 수 있었겠느냐. 그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그가 갑자기 입장을 번복한 이유는 분명치 않다. 다만 “저는 한 사람의 정치 플레이어였다. 지난 1년 동안 야당 지지자분들이 듣기에 거친 표현을 썼던 점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다. 마음의 상처를 드렸다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그의 말에서 유추할 수 있을 듯하다. 대야 공격의 선봉에 설 수밖에 없었던 원내수석부대표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일종의 회개를 한 것으로 보인다는 얘기다.

윤 의원은 이 발언을 통해 개인적인 짐을 내려놓았다고 여길지 모르겠으나 정치적으로 파장이 일고 있다. 그의 말대로라면 당시 새누리당 지도부의 행태는 정당하지 못했고, 남북 정상회담 녹취록 사본을 공개하며 야당을 압박한 국가정보원의 소행도 부적절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새누리당 지도부의 대국민 사과와 국정원장 해임을 요구하고 나섰고, 새누리당 내에서도 유사한 주장이 나왔다.

노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했느니, 안 했느니 하는 논쟁으로 우리 사회는 많은 비용을 지불했다. 윤 의원의 자성을 계기로 새누리당 지도부가 이른 시일 내에 NLL 논란을 말끔하게 정리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