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외국인 주민 40만 시대… 서울시 "외국인 지원망 구축"

입력 2014-05-08 18:32

[쿠키 사회] 서울시가 언어·법·행정적 장벽에 막힌 외국인 주민을 위해 서울통신원 등을 도입키로 했다. 2016년에는 외국인 유학생 종합상담지원센터도 문을 연다.

서울시는 세계인의 날(5월 20일)을 앞두고 8일 시내 거주 외국인 주민을 지원하기 위해 ‘다(多)가치 서울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지난해 1월 기준 서울 외국인 주민은 169개국 출신 39만5640명이다.

시는 외국인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시 본청에 외국인주민인권팀을 신설했다. 실직 또는 가정불화 등으로 당장 거처할 곳이 없는 외국인 주민을 위한 쉼터도 동남·동북·서남·서북권 등 4개 권역에 1곳씩 운영된다. 또 언어장벽 등이 인권침해나 차별로 이어지지 않게 공공기관 등에서 의사소통을 도울 서울통신원과 법적 분쟁 시 도움을 줄 사법 통번역사를 양성키로 했다.

외국인 주민이 시 정책 입안 및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대표자회의 등 교류·소통채널도 마련된다. 2018년에는 통합국제문화원을 열어 비(非)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문화원들의 입주를 지원키로 했다. 현재 종로구 서린동에 위치한 외국인 종합 지원시설 서울글로벌센터도 7월에는 영등포구 대림동에 추가로 마련된다.

아울러 시는 국내법과 책임을 교육하는 ‘시민 되기 아카데미’를 운영키로 했다. 경찰청과 협조해 ‘외국인 주민 자율방범대’를 확대·운영, 외국인 스스로 치안환경을 자율적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시는 코리안 드림을 품고 서울에서 취업하거나 창업하기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오는 9월 ‘외국인 주민 취업박람회’를 개최키로 했다. 외국인 주민이 직접 자녀 진학지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가이드북도 제작, 배포된다. 2016년에는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동북권 지역에 유학생 종합상담지원센터가 개설된다.

조현옥 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마스터플랜은 아메리칸 드림을 위해 맨주먹으로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던 우리 아버지, 어머니들의 입장이 돼 고민한 결과”라며 “내국인과 함께 더불어 잘사는 선진 다문화도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