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이후 표심 변화와 6·4지방선거 전망] 무당파로 대거 이동한 40代 향배에 달렸다

입력 2014-05-08 03:09


6·4지방선거에서 ‘40대 표심’이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정부와 새누리당에 우호적이었던 40대가 세월호 참사 이후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파로 대거 이동하는 등 표심이 급변하고 있다. 특히 세월호 사고로 희생된 학생들과 비슷한 또래의 자녀를 둔 40대 엄마들의 ‘분노’가 어디로 튀느냐에 따라 선거 승패가 좌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40대 여권 지지자, ‘무당파’로 대거 이동=최근 주요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와 정당 지지도 추이를 보면 여권의 하락세가 뚜렷하다. 특히 40대에서 하락폭이 컸다. 7일 한국갤럽이 매주 발표하는 ‘데일리 오피니언’ 자료를 분석한 결과 4월 초중반 40대의 새누리당 지지도는 40%를 웃돌았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최근(4월 28일∼5월 1일) 조사에선 32%까지 떨어졌다. 그렇다고 야권 지지도가 오른 것은 아니다. 4월 첫째 주 32%였던 40대의 새정치민주연합 지지도는 4월 마지막 주에도 32%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대신 “지지정당이 없다”고 밝힌 무당파가 22%에서 33%로 크게 늘었다.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세대별로 뚜렷하게 엇갈렸다. 4월 마지막 주 조사에서 20, 30대의 61%는 ‘잘못하고 있다’고 대답한 반면 50대(64%)와 60세 이상(77%)은 여전히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았다. 눈에 띄는 건 역시 40대다. 4월 초중반까지만 해도 긍정 평가가 훨씬 많았던 40대는 세월호 참사 이후 긍정·부정 평가가 각각 45%로 같았다. 한국갤럽의 조사는 매주 월∼목요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5∼1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8%∼±3.1% 포인트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40대 표심이 요동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입을 모았다. 박원열 현대리서치 전무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와 여당에 실망한 40대가 지지를 철회하고 있는데 문제는이들의 표심이 갈 데가 없다는 점”이라면서 “40대가 사회적으로 모임이 많고 여론을 주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선거가 임박할수록 영향력이 세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전무는 “특히 세월호 참사를 자기 일처럼 생각하는 40대 부모들은 대통령의 사과가 진정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면서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40대가 노무현 당시 새천년민주당 후보에게 돌아섰던 것처럼 이번 선거에서도 판세를 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성진 이화여대 정치학과 교수는 “40대 여성들이 가장 관심 있는 분야가 교육정책”이라면서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학생들이 교육정책의 직접적인 피해자는 아니지만 학부모들은 투표할 때 자연스럽게 사고를 머릿속에 떠올리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달 30일 엠브레인이 전국 성인 남녀 10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무선 전화 RDD(임의걸기) 여론조사(응답률 19.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에서도 무당파는 43.8%로 나타났다. 세대별로 보면 40대가 52.1%로 가장 높았고 성별로는 여성이 46.5%, 남성이 41.0%를 기록했다.

◇세월호 참사 쇄신책이 민심 달랠 수 있을까…투표율도 변수=무당파의 향배는 이달 중순으로 예상되는 박근혜 대통령의 안전 관련 쇄신책과 후속 인사 발표에 좌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강한 쇄신책이 나올 경우 무당파가 다시 여권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생색내기’ 수준에 그친다면 결국 정부를 심판하는 ‘응징 투표’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정치에 환멸을 느낀 유권자들이 아예 투표를 포기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학과 교수는 “40대 표심의 ‘정권 심판론’이 힘을 얻으려면 야당이 야당다워야 하는데 현재는 그런 인상을 못 주고 있다”면서 “아예 정치 무관심과 외면으로 이어져 투표율이 낮아지면 결국 호남을 제외한 지역에서 여당이 득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안전시스템에 대한 확실한 대안과 공공 부문의 부조리 타파, 혁신적 인사 단행 등이 40대를 중심으로 한 유권자들에게 얼마나 설득력을 얻을지가 관건”이라면서 “쇄신책 발표 이후 대통령 지지율이 50% 이하에 머무느냐, 아니면 상승 국면을 타느냐가 선거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지혜 김동우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