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조타실 선장·핵심 선원들 아무 대답 없었다
입력 2014-05-08 04:04
세월호 침몰 당시 해양경찰의 부적절한 초기 대응이 연일 비판받고 있지만, 해경에 대한 검찰의 수사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본부장 안상돈 광주고검 차장검사)는 해경과 해양수산부 등 초기 구조 활동을 담당한 정부기관에 대한 수사는 침몰 원인이 규명된 후에 착수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속된 피의자들에 대한 보강 수사가 시급한데다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해서도 아직 확인할 부분이 많이 남았다는 이유에서다.
합수부 관계자는 7일 “인력이 모자라 해경 수사를 병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구속된 피의자 조사와 침몰 원인 규명에 수사 역량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합수부는 세월호 선원 15명과 청해진해운 임직원 4명 등 19명을 구속 수사하고 있다. 구속만기가 다가오는 만큼 이들에 대한 사법처리 방침을 우선적으로 결정해야 할 상황이다.
합수부에 해경 인력 54명이 포함돼 있는 것도 해경 등에 대한 수사가 제약을 받는 요인이다. 합수부가 수사 주체가 될 경우 해경이 해경을 수사하는 모양이 돼 버린다. 합수부는 해경과 협조해 사고 원인에 대한 수사를 일정 부분 마무리하고 부적절한 초기 대응에 대해서는 검찰이 직접 나서 확인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해경에 대한 수사가 합수부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해경 등에 대한 4차례에 걸친 압수수색도 증거인멸을 우려한 증거 확보 차원이었지 본격 수사에 착수한 것은 아니었다는 설명이다. 합수부는 지난달 26일 해경 관할인 진도연안 해상교통관제센터(VTS)와 해수부 관할인 제주 VTS를, 지난달 28일에는 목포해양경찰서 상황실과 전남소방본부 119상황실을 압수수색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압수물 분석과 VTS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 조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편 세월호 침몰 당시 객실에 있던 승무원이 무전기를 이용해 수차례 지시를 내려줄 것을 요청했지만 당시 조타실에 있던 선장과 핵심 선원들이 아무 대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선내방송을 담당했던 승무원 강모(32)씨는 합수부 조사에서 “구명조끼 착용 지시 후 새로운 지시가 없어 선박직 선원들에게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수차례 물어봤지만 아무도 답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구조된 승객 중 일부도 강씨 등 승무원들이 무전기를 통해 여러 차례 추가 지시를 요청했던 장면을 목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합수부는 다음 주 말쯤 구속된 선박직 선원 10여명을 일괄 기소할 때까지 왜 이 같은 요청을 묵살했는지 확인해 사법처리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목포=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