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6·4 지방선거 (1) 제주도] 중앙 간섭없는 자유로운 특별자치도 ‘이구동성’
입력 2014-05-08 03:11
제주도지사 선거에 나선 여야 후보들은 정부 및 중앙정치로부터 자유로운 특별자치도를 만들겠다며 경쟁적으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새누리당 원희룡 후보는 7일 국민일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제주도 스스로 준독립국으로 갈 수 있는 힘을 끌어올려 당당히 정부와 협상해야 한다”며 ‘제주특별자치도의 완성’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원 후보는 “2006년 제주도가 특별자치도로 출범했지만 정부로부터 실질적인 권한을 제대로 이양받지 못했다”며 “제주도가 정부의 하위 부속품이라는 사고를 버려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의 원조 소장개혁파로 불렸던 원 후보는 정부와 협상을 할 때도 당당하고 깐깐하게 ‘거친 협상’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를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이기 위해선 제주도가 일단 단결해야 하고, 이를 위해 도지사부터 모범을 보인다는 차원에서 당선 이후 다음 선거를 위한 예산편성, 인사, 조직운영을 완전히 배제하겠다는 방침이다.
원 후보는 현재 규모가 대폭 축소된 채 ‘반쪽’으로 진행되는 제주 4·3사건 관련 사업을 정상화하겠다고 공약했다. 특별법이 규정한 모든 사업을 법대로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401억원의 국비를 확보해 4·3평화공원 조성을 마무리하고 4·3치유센터, 4·3올레길 등도 만들겠다고 했다.
지난달 11일 후보 당선자 수락연설에서 “상대 후보를 헐뜯는 말은 단 한마디도 하지 않겠다”며 정책대결을 공언했던 원 후보는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파격적인 추가 약속을 내놨다. 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하지 않고 조직적으로 동원하는 유세도 하지 않겠다고 했다. 또 선거관리위원회에서 보전해주는 선거비용을 유세에 사용하지 않고 제주도의 안전체계 정비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 신구범 후보는 홍콩을 제주도의 롤모델로 제시했다. 신 후보는 “홍콩처럼 외교, 국방을 제외한 고도의 자치권을 가진 1국가 2체제를 추진해 사실상 제주 강소 독립국을 지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도가 그동안 지나치게 중앙정치 논리에 휘둘려 왔다고 보는 신 후보는 특히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갈등을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했다. 제주도의 자치권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을 기본법과 집행법으로 분리·개정하겠다는 공약을 선보였다. 지사 재임 시절 제주도의 대표적인 상품인 ‘삼다수’ 생수 개발을 주도했던 신 후보는 삼다수를 세계 최고의 생수로 키워 도민을 주주로 만든다는 이색 공약도 내세웠다. 또 제주도 토종 자본 4조원을 조성해 이를 통해 매년 5000개의 신규 일자리를 만든다는 공약도 밝혔다.
신 후보는 중국 투기자본이 제주도의 부동산, 기업을 마구잡이로 사들이는 것을 막아 도민 주도의 개발을 이끌겠다는 약속도 했다. 아울러 사회적기업인 제주관광여행업협동조합(가칭)을 설립해 해외 현지에서 직접 관광객을 모으고, 관광 안내원을 공무원화한다는 구상도 소개했다.
유성열 임성수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