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국조로 세월호 참사 책임 규명” 안철수·김한길 공식 요구

입력 2014-05-07 03:11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가 6일 세월호 참사 책임 규명을 위한 특검과 국회 국정조사, 범국가적 위원회 설치를 공식 요구했다. 5월 국회에서 세월호 참사 문제에 대해 철저히 진상규명을 하고 정부·여당에 책임을 묻는 등 전방위 공세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안·김 공동대표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이 4·16(세월호 참사 발생일) 이전과 이후로 구분될 만큼의 큰 변화를 이끌어내는 일에 국회가 앞장서겠다”며 국회 차원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우선 특검 도입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유가족과 국민이 원한다면 특검을 포함한 진상규명을 위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유가족과 국민이 원한다면’이라는 애매한 전제를 달았지만 이미 유가족들이 특검 도입 서명운동까지 하고 있어 야당의 특검 요구는 기정사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두 대표는 국회에서 세월호 참사를 철저히 규명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안 대표는 “4월 임시국회에서 민생법안 대부분을 처리한 만큼 5월 국회는 4·16참사를 다루는 국회가 돼야 한다”며 “즉각 국회의 모든 관련 상임위를 가동해 4·16참사 실종자를 찾고 수습하는 일에 모자람이 없는지 점검하는 한편 이번 참사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가려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상황 수습이 끝나는 대로 상임위 차원의 청문회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6월에는 국회에 4·16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두 대표는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여·야·정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범국가적 위원회(가칭 ‘안전한 대한민국 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정부에 제안했다.

청와대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김 대표는 “대통령의 사과는 시작일 뿐”이라며 “대통령이 정식으로 사과하고 ‘국가안전처’ 등의 즉흥적인 대책을 내놓는 것으로 상황을 마무리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당내에서는 “국민의 생명보다는 돈을, 공공 가치보다는 개인 이익이 우선하는 방향으로 나라를 잘못 끌어가는 박근혜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김상곤 전 경기교육감)”는 ‘심판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사고 수습이 먼저”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여야 할 것 없이 솔직히 죄인이 된 심정으로 자숙해야 하는데, 사고를 이용해 정쟁을 하겠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