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분히 예견됐던 잠수사 사망사고 참 안타깝다
입력 2014-05-07 02:21
실종자 수색 못잖게 또 다른 안전사고 예방에도 힘써야
결국 우려했던 일이 일어나고야 말았다. 어제 세월호 침몰 사고 해역에서 수색작업을 하던 민간 잠수사 이광옥(53)씨가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이씨는 잠수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으로 그제 사고 현장에 도착해 이날 첫 잠수에 나섰다 변을 당해 안타까움이 더하다. 천안함 침몰 당시 구조작업에 헌신하다 순직한 고 한주호 준위가 그러하듯 고인의 의로운 행동은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구조작업에 동원된 잠수사들은 어두운 바닷속에 갇혀 있는 실종자들을 1초라도 빨리 가족 품에 안겨주기 위해 사선을 넘나드는 고된 업무를 반복하고 있다. 해경, 해군 잠수사들도 마찬가지다. 위험한 줄 뻔히 알면서도 이들은 하나같이 “실종자 가족을 생각하면 작업을 멈출 수 없다”고 말한다. 작업이 더디다고 분통을 터뜨리는 실종자 가족들이 야속할 법도 한데 불평 한마디 않고 묵묵히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는 잠수사들이야말로 진정한 영웅이다.
이번 사고는 매뉴얼대로 하지 않아 발생한 안전사고다. 매뉴얼을 지키지 않아 일어난 세월호 참사 구조작업 현장에서 같은 이유로 사고가 발생한 건 참으로 역설적이다. 잠수사들은 1회 잠수시 12시간 정도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사흘 연속 잠수한 뒤에는 반드시 하루를 쉬어야 건강에 이상이 없다. 수중에서 급속한 상승 또한 몸에 무리를 준다.
하지만 현장에서 이 같은 안전수칙은 이상(理想)에 불과하다. 뻔히 알고도 안전수칙을 지킬 수 없는 슬픈 현실 때문에 지금까지 잠수병 등으로 치료를 받았거나 치료 중인 잠수사가 16명에 이른다고 한다. 잠수사들의 안전이 심히 우려되는 긴박한 상황이다. 그런데도 잠수사들은 사망사고 후 잠시 작업을 중단했을 뿐 곧 바다로 다시 뛰어들었다. 투철한 사명의식 없이는 쉽게 할 수 없는 일이다. 실종자 가족들도 애타는 마음에 울분을 토하는 것이지, 또 다른 희생을 부르는 무리한 작업을 바라는 게 아니다. 이렇게도, 저렇게도 하기 어려운 안타까움의 연속이다.
초동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초기에 신속하게 대처했더라면 희생을 대폭 줄일 수 있었고, 구조에 나선 잠수사들의 작업 부담도 이렇게까지 감내하기 힘들 만큼 커지지 않았을 테니 말이다. 곱씹으면 곱씹을수록 애통하고 화가 치민다.
단 한 명의 유실도 없이 실종자를 모두 찾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 4일 진도 사고 현장을 다시 찾은 자리에서 “마지막까지 찾겠다”고 실종자 가족들에게 약속했다. 그 못지않게 잠수사들의 안전도 중요하다. 정부는 1차 구조수색작업기간을 오는 10일까지로 정했다. 행여 이 목표에 연연해 잠수사들을 무리하게 동원할 경우 제2의 사고를 부를 수 있다는 점을 한시도 잊어선 안 된다. 사고 수습과정에서 보여준 잠수사들의 헌신과 노고는 국민들 기억 속에 영원히 남아야 하는 것은 물론 그에 걸맞은 보상을 받아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