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추돌 사고] 세월호에 호되게 혼난 官, 이번엔 신속히 대응 나서

입력 2014-05-02 22:57 수정 2014-05-03 04:22

지하철 2호선 추돌 사고가 2일 발생하자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등 유관 기관은 곧바로 상황 수습에 착수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 늑장 대응에 대한 비난이 제기됐던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이날 오후 3시32분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는 보고를 받고 곧바로 시청 집무실에서 현장으로 이동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어 박 시장이 사고 현황과 추정 원인 등을 보고받고 시 소방재난본부, 서울메트로 측과 회의를 하며 수습 방향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7월 노량진 배수지 수몰 사고와 방화대교 램프 상판 붕괴 사고를 겪은 박 시장은 신속한 사고 수습을 위해 곧바로 현장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시는 또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긴급히 개인택시 요일부제를 해제하고 상왕십리 주변 노선 33개에 버스 59대를 추가 투입했다.

박 시장은 또 오후 10시50분쯤 발빠르게 사과문을 내놓았다. 박 시장은 “온 국민이 슬픔에 잠겨 있을 때 지하철 안전사고가 발생해 안타깝고 송구하다. 책임을 통감한다”며 “부상자 치료 등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 두번 다시 이런 일이 없도록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소방 당국도 사고 현장에 소방인력과 경찰, 구청 직원 등 213명을 투입했고 구급차와 소방차 등 58대를 동원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도 추돌 사고가 발생하자 서승환 장관을 본부장으로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정부세종청사에 구성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사망자가 5명 이상이거나 사상자가 10명 이상일 때 꾸려진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망자가 없어 본부 구성 요건은 아니지만 부상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그에 준하는 것으로 보고 본부를 구성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하철 대형 사고 위기경보 ‘심각’ 상황을 발령하는 한편 코레일에 긴급 복구와 대체수송 수단을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경찰도 수사팀을 꾸리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했다. 경찰 관계자는 “강신명 서울청장이 사고 직후 현장에서 수사를 지휘했다”면서 “서울청 과학수사요원 등이 현장에서 수사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규엽 권기석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