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해경-언딘 ‘유착 의혹’ 확산일로… 세월호 침몰 당일 구난업체 결정
입력 2014-05-03 02:44
해경과 세월호 구난업체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언딘)의 유착 의혹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세월호가 침몰한 당일 언딘이 구난업체로 결정된 것에 해경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언딘은 지난달 16일 오후 세월호 침몰 당일 세월호 구난업체로 선정됐다. 의혹의 핵심은 해경이 청해진해운에 언딘을 구난업체로 선정토록 직간접적으로 압력을 행사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언딘의 김모 대표가 해양경찰청의 법정단체로 지난해 1월 출범한 한국해양구조협회의 부총재라는 점이 이 같은 의혹을 부채질하고 있다. 총 19명에 이르는 해양구조협회 부총재에는 해경청 경비안전국장과 해경 경무관 출신 김모씨도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해경이 해양구조협회에서 부총재로 활동하는 김 대표와 유착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해경이 세월호 구난업체로 언딘을 선정하도록 압력을 넣었다는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 청해진해운 관계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해경이 언딘을 소개시켜줬고, 언딘이 원하는 대로 독점권을 줄 수밖에 없었다”며 “보상 액수 등은 추후에 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해경과 언딘은 4년 전 천안함 사건 때에도 수색작업을 함께 수행한 인연이 있다. 해경은 2010년 4월 천안함 실종 장병 수색작업에 참여했다가 침몰한 쌍끌이 어선 금양98호의 선내 수색업체로 언딘을 선정한 바 있다.
해경은 청해진해운이 언딘을 세월호 구난업체로 선정하는 과정에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해경은 해사안전법과 수난구호법에 따라 사고여객선 선사인 청해진해운에 적법하게 구난명령을 내렸다”며 “청해진해운은 이에 근거해 언딘과 선박구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경이 언딘에 특혜를 주고 있다는 의혹은 세월호 수색구조 현장에서도 끊이지 않고 있다. 해경이 언딘의 실종자 수색 독점을 위해 해군과 민간 잠수사의 수색을 막았고, 민간 잠수사의 공적을 가로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실제 국회 국방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진성준 의원은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 “사고 해역 탐색을 맡고 있던 해경은 언딘의 우선 잠수를 위해 현장 접근을 통제했고, 이 때문에 해군 잠수요원들은 현장에 투입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수색 현장에 투입된 민간 잠수사들은 수색 초기 자원봉사 민간 잠수사들이 잠수에서 배제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