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고 종합대책 5월 내 마련키로… 해양사고·화재 등 9개 분야

입력 2014-05-03 02:38

정부는 이달 내에 해양사고, 자연재해, 건물붕괴, 화재 등 9개 분야 대형사고 사례를 세부적으로 분석해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선박에 대해서는 안전관리 시스템 개선과 선원 직업윤리 및 역량제고, 여객선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도입·검사·운항·관리 등 생애주기별 개선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세월호 사고수습 및 후속대책을 논의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달 2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과거 대형사고를 철저히 분석해 유형별 종합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회의에는 안전행정부 해양수산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6개 부처 장·차관이 참석했다. 해수부는 선박 생애주기에 따른 개선대책 마련과 함께 해양 재난사고 지휘체계 문제 등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희생자 가족·학생·지역주민 등에 대한 의료·심리 지원 및 장례지원, 피해가족 생활안정 대책 등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당장 생계가 곤란한 희생자 가족들을 위해 긴급복지지원제도 특례운영, 치료비 지원 등 안정대책을 마련하고 전남 진도에 관계기관 합동 장례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해 장례절차 및 장소를 안내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단원고 학사운영 정상화를 위해 ‘단원고회복지원단(경기교육청)’을 학교 내 상주시켜 지원하고 학생·학부모 교원 심리치료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아울러 학교, 유치원 등 교육시설에 대한 전수 안전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는 보호자 없이 집에 남아 있는 피해가족에게 아이·노인 돌봄, 가사 돌봄, 도시락 전달 등 긴급 가족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 피해가족 거주지역의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 상담사를 통해 가족 상담을 지원하는 등 2차 피해예방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 총리는 “각부 장·차관을 비롯한 모든 공직자도 흔들림 없이 사고수습과 맡은바 직무에 충실해야 할 것”이라며 “무사안일하거나 본분을 망각한 무책임한 공직자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