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족 대응, 관용·화해정책 필요”

입력 2014-05-03 02:54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수도 우루무치(烏魯木齊) 기차역에서 발생한 자살 폭탄테러 이후 위구르족에 대한 중국 정부의 화해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테러 세력 괴멸’을 강조한 상황에서 이러한 목소리가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시 주석은 이번 사건으로 소수민족 정책을 놓고 새로운 시련에 직면하게 됐다.

신장사회과학원 중앙아시아연구소 판즈핑(潘志平) 전 소장은 2일 홍콩 명보(明報)와의 인터뷰에서 “당국은 신장문제와 관련해 더욱 현명해져야 한다”며 “즉 온 힘을 쏟아 민심을 얻어야 한다”고 밝혔다.

판 전 소장은 “테러 세력이나 정치 문제 외에 민족이나 종교 문제에 대해서는 관용과 화해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신장 문제는 이미 세계적인 난제가 돼 버렸다”며 “신장 분리주의는 하루아침에 등장한 게 아닌 만큼 원만한 해결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테러 전문가 리웨이(李偉)는 “이번 신장 테러는 중국 당국이 반테러 활동을 펴는 데 있어서 장기 투쟁을 벌일 준비를 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테러 추방 조치를 내놓는다고 해서 테러 공격이 당장 없어지는 건 아니다”며 9·11테러 뒤 미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반테러 조치를 취했지만 보스턴마라톤 테러가 발생한 예를 들었다. 그는 “다만 반테러 조치를 취하면 테러 발생 빈도를 줄일 수는 있다”면서 “그런 만큼 사전 정보수집 활동이 더욱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반테러법’ 연내 제정을 서두를 것으로 관측됐다. 명보는 “반테러법은 현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라면서 “공안부 반테러국이 구체적인 작업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테러 전문가는 “과거에는 테러가 특정 지역 문제였지만 천안문 테러, 쿤밍 테러 등에서 보듯 이제 전국적인 현상이 되었다”며 “반테러법은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는 내용을 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장 문제는 배경에 민족 간 뿌리 깊은 불신이 자리 잡고 있어 무조건 강경 대응책을 펼 수도, 단순히 유연하게 대응할 수도 없어 시진핑 지도부에는 진퇴양난의 과제가 돼 버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이징에서는 1일 자정 전후로 실전 수준의 본격적인 반테러 훈련이 실시됐다. 당국은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대도시의 기차역, 버스정류장, 관광지 등 민간인 밀집 장소에 대해서는 24시간 순찰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