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한국선급 관련자들 내주 소환… 선사와 유착혐의 수사 본격화

입력 2014-05-03 02:55

선박의 인증과 안전점검을 맡은 한국선급(KR)과 선사들의 유착혐의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되고 있다.

해운비리를 수사 중인 부산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흥준 특수부장)은 다음 주부터 오모(62) 전 회장 등 핵심 관련자들을 차례로 소환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검찰은 다음 주 오 전 회장을 상대로 지난해 2월 한국선급 신성장산업본부를 서울로 이전하면서 영리회사를 설립하고 사무실 리모델링 공사비 수천만원을 횡령한 혐의에 대해 집중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한국선급 본부장과 팀장급 4∼5명을 소환해 선박설계검사와 중고 선박 설계변경조사 등을 하는 과정에서 편의를 제공하는 명목으로 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에 대해서도 집중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또 한국선급 전·현직 임직원들이 선박검사 권한을 이용해 선박설계업체와 해운회사로부터 금품을 받아 비자금을 조성, 일부를 정관계 로비자금으로 사용한 정황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검찰은 한국선급 본부장이 2011년 해양수산부(당시 국토해양부) 등 관계 공무원 여러 명에게 수백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제공한 단서를 잡았다. 또 2012년 12월 이들 공무원들에게 식사와 향응을 제공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부산의 A선박설계업체가 해수부와 한국선급 관계자들에게 로비는 물론 비자금 조성 창구역할을 한 혐의를 잡고 조사 중이다. 이를 위해 검찰은 지난달 29일 A사로부터 압수한 회계서류와 선박설계 자료, 전산 자료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검찰은 세월호 침몰 당시 구명정이 펴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민간업체와의 유착관계를 조사 중이다. 대형 여객선의 구명정은 한국선급이 민간업체에 위탁해 정기 점검한 뒤 인증해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업체가 형식적인 점검을 한 뒤 수수료를 챙겼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한국선급은 세월호에 대한 안전 검사에서 구명벌 46개 중 44개가 정상이라고 진단했지만 세월호 침몰 당시 구명벌은 한 개만 펴졌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