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國調 카드 꺼낸 野…대통령 책임론 정조준

입력 2014-05-02 02:31

새정치민주연합이 1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국회 국정조사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정부의 구조 실패와 무능한 대응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전방위 공격모드로 전환했다.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6·4지방선거 정국에서 ‘박근혜정부 책임론’을 전면에 내세우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신중모드에서 갑자기 돌변한 지도부의 오락가락 행보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고위정책 및 여객선 침몰사고 대책위 연석회의’에서 “사태의 수습과 진상 규명, 대처 과정에서 국회 국정조사는 불가피한 사항이 됐다”며 “수습에 방해가 되지 않는 시점에 국회에서 국정조사를 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지도부가 공식 회의석상에서 국정조사를 직접 거론한 것은 처음이다.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도 의원총회에서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전 원내대표의 국조 발언에 힘을 실어줬다. 당 사고대책위 공동위원장인 우원식 최고위원은 “관련 상임위원회 9곳에서 충분히 논의한 뒤 논의 결과를 토대로 국회가 할 수 있는 국정조사와 청문회를 하고 이후 국정감사를 거치면서 충분히 시간을 갖고 차근차근 따져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의 국회 진상조사위 구성 제안에는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국조가 실시될 경우 해경이 민간 구조업체인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를 위해 해군 최정예 부대의 잠수를 막았다는 의혹, 정부 구조대책 논의에 대한 비판,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 논란 등이 초점이 될 전망이다.

전 원내대표는 언딘 의혹에 대해 “이런 의혹이 사실이라면 정말로 용서할 수 없는 일이며 땅을 치고 천인공노할 일”이라고 비판했다.

장병완 정책위의장도 박 대통령의 사과를 비판한 유가족의 입장 표명에 민 대변인이 ‘유감스럽다’고 대응한 것에 대해 “백번 사죄해도 모자랄 판에 어떤 이유로 유가족들에게 이런 말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유가족 마음보다 대통령 심기를 걱정하는 청와대에 대한 유가족과 국민의 공분이 더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도지사 예비후보인 원혜영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참사는 한마디로 국가의 배신”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호의 선장으로서 국가침몰 사태에 대해 무겁게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국민 앞에 정중한 예를 갖춰 사과하시기 바란다”라고 공개 요구했다.

또 우 최고위원은 전날 범정부사고대책본부의 전문가회의 결과와 관련해 보도자료를 내고 “이제 와서 선실 위 문 개방장비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발상이 제정신인가”라며 “이런 요식행위로 행정력만 낭비하는 면피행정, 전시행정은 그만 하기를 바란다”고 꼬집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